학술논문
장애학생을 위한 스마트 교육의 중재 효과: 단일대상 메타분석 활용
이용수 269
- 영문명
- A Meta-analysis of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s on Smart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학습장애학회
- 저자명
- 김동일(Dongil Kim) 조영희(Younghee Cho) 조은정(Eunjung Cho) 임정은(Jungeun L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장애연구』제18권 제3호, 21~5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된 스마트 교육 관련 단일대상 중재연구를 메타분석하여 전체 효과크기 및 효과크기에 영향을 준 관련 변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포함 및 배재준거에 따라 총 33편의 단일대상연구가 최종 선정되었으며, 67개의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장애학생 대상 스마트 교육의 전체 효과크기는 .929로 큰 효과크기에 해당하며, 개별 연구의 효과크기는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에 따른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연령에 따른 효과크기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중도중복장애 및 발달장애(지적, 자폐성 장애), 뇌병변장애 학생에게 중재를 적용했을 때 큰 효과크기가 제시되었다. 셋째, 연구 도구별로 살펴보았을 때, 연구자 개발 도구일 때 더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넷째, 중재 특성별로 살펴본 결과, 중재방법 및 중재자에 따른 효과크기의 차이는 없었으며, 중재영역에서는 정서적 지원이 교과 및 행동적 지원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효과 크기가 나타났다. 다섯째, 물리적 중재 특성을 살펴본 결과, 중재장소, 중재횟수 및 중재 시간, 중재충실도 보고에 따른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장애학생에게 스마트 교육을 적용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과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meta-analysis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mart education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a total of 33 single subject studies and 67 effect sizes(ES) were finally selected.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 overall average ES of smart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Tau-U = .929, which has a large ES and a low heterogeneity. Second, among participant-related variabl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according to variables related with participants’ grade,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effect size according to area of disability. Third, large ES was found only when using research-developed test. For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according to intervention types and interventionist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t according to intervention areas. Fifth,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physical intervention variables related to intervention. From the results above, considerations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o adopt smart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