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외 장애학생 대상 도식기반교수 및 수정된 도식기반교수 연구 분석
이용수 271
- 영문명
- An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on Schema-Based Instruction and Modified Schema-Based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학습장애학회
- 저자명
- 승예린(Yerin Seung) 옥민욱(Min-Wook Ok)
- 간행물 정보
- 『학습장애연구』제18권 제3호, 69~9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외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도식기반교수 및 수정된 도식기반교수 연구를 분석하여 개괄적인 연구의 특징, 중재방법, 중재 및 유지효과를 살펴보았다. 문헌 선정 준거에 따라 선정된 국내외 도식기반교수 연구 14편과 수정된 도식기반교수 연구 13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도식기반교수와 수정된 도식기반교수 모두 최근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내 연구는 국외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연구대상의 경우 도식기반교수 연구는 초등 학습장애 학생, 수정된 도식기반교수 연구는 중등 지적장애 학생 대상으로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또한 도식기반교수와 수정된 도식기반교수 연구 모두 덧셈과 뺄셈 영역에 더 중점을 두어 이루어졌으며, 대부분 연구자가 중재를 제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중복 비율기법으로 중재 및 유지 효과를 분석한 결과, 평균적으로 도식기반교수는 중간 크기, 수정된 도식기반교수는 높은 크기의 중재 및 유지 효과를 보였다.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장애학생을 위한 도식기반 및 수정된 도식기반교수 현장적용과 후속연구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search on schema-based instruction(SBI) and modified schema-based instruction(MSBI)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tudies were analyzed on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studies, research methods and the intervention effects. Based on inclusion criteria, a systematic search identified fourteen SBI studies and thirteen MSBI studies.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SBI and MSBI studies have been actively investigated recently, but domestic studies were relatively fewer than foreign ones. Most of the participants were elementary school s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SBI studies, whereas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ok the largest part in MSBI studies. Research on both SBI and MSBI mainly focused on addition and subtraction, and researchers served as interventionists in the majority of them. The results on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effect size revelaed that both SBI and MSBI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word problems performance, with a moderate and a large effect respectively.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