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쓰기부진 아동과 일반 아동의 쓰기 수행과 신념 및 삶의 질 비교

이용수  304

영문명
Comparison of Writing Performance, Beliefs, and Quality of Life between Underachieving Children in Writing and General Children
발행기관
한국학습장애학회
저자명
고영실(Young-Sil Ko) 송재홍(Jae-Hong Song)
간행물 정보
『학습장애연구』제18권 제3호, 99~12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쓰기 수행과 쓰기 관련 신념 및 삶의 질에 있어서 쓰기부진 아동과 일반 아동의 차이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6학년에 재학 중인 쓰기부진 아동 18명과 일반 아동 22명을 대상으로 쓰기수행 평가도구와 쓰기효능감, 암묵지능, 자아존중감, 주관적 안녕감 등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음절 수, 전체 문장 수, 전체 어절 수 등 쓰기의 양에서 쓰기부진 아동은 일반 아동보다 낮은 점수를 받았다. 둘째, 내용, 조직, 표현 등 쓰기의 질에서 쓰기부진 아동은 일반 아동보다 낮은 평가를 받았다. 셋째, 쓰기부진 아동은 일반 아동보다 자신의 쓰기 효능감을 낮게 평정하였다. 넷째, 쓰기부진 아동은 일반 아동보다 암묵지능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긍정신념과는 달리 고정신념에서는 양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끝으로, 쓰기부진 아동은 일반 아동보다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안녕감을 낮게 평정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writing performance, writing-related beliefs, and quality of life between the underachieving children in writing and general childre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amount of writing performance of children with underachievement in writing,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total number of syllables, total sentences, and total vocabulary they generated compared to the general children. Second, children with underachievement in writing showed a different quality in the content, writing organization, and expressions used in their writings. Third, children with underachievement in writing demonstrated different levels of writing-related beliefs such as lower writing efficacy and implicit intelligence than those of the average-achieving students. writing efficacy and implicit intelligence. Whereas the underachieving students showed lower positive beliefs than their opponent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cted in the stereotyped beliefs among the two groups. Fourth,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life which includes the self-essteem and subjective well-being as sub-factors between the two groups. The students with writing underachievement appeared to show a lower self-esteem and higher negative attitude on themselves compared to those with average achievement. Furthermore, the underachieving students in writing appeared to feel a lower subjective well-being than those of their opponents. Based on these findings, insight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영실(Young-Sil Ko),송재홍(Jae-Hong Song). (2021).쓰기부진 아동과 일반 아동의 쓰기 수행과 신념 및 삶의 질 비교. 학습장애연구, 18 (3), 99-125

MLA

고영실(Young-Sil Ko),송재홍(Jae-Hong Song). "쓰기부진 아동과 일반 아동의 쓰기 수행과 신념 및 삶의 질 비교." 학습장애연구, 18.3(2021): 99-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