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업보안교육의 국내외 연구 동향과 개선방안
이용수 72
- 영문명
- Research Trends and Improvements of Security Education in Companies: Focusing on a Systematic Scoping Review
- 발행기관
- 한국보안관리학회(구:한국경호경비학회)
- 저자명
- 김재연(Jaeyeon Kim) 박재현(Jaehyun Park) 오주연(Juyeon Oh) 명승환(Seunghwan Myeong) 서우종(Woojong Suh)
- 간행물 정보
- 『시큐리티연구』시큐리티연구 제67호, 261~28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기업의 보안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그 주요 원인으로 종종 직원들의 보안 인식 수준이 지적됐으며, 이러한 보안 인식의 향상을 위해서는 보안교육의 중요성이 꾸준히 강조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향후 보안교육 연구의 방향성과 기업 내 보안교육의 방향 성을 제시하기 위해, 주제 범위 문헌 고찰 연구방법론의 연구 절차에 따라 보안교육 관련 논문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RISS, DBpia, Web of Science, Scopus을 대상으로2001년부터 2020년까지 20년간의 국내외 보안교육 관련 논문을 검색하였고, 제시된 4,636 편을 대상으로 연구간 중복성 그리고 본 연구의 목적과 범위에 대한 적합성을 기준 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KCI와 SSCI에 등재된 17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을 연구방법, 통계 방법, 보안교육대상, 연구대상 조직, 보안교육 내용, 보안교육 측정 도구, 보안교육 성과로 분류 기준을 나누어 연구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보안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을 토대로 보안교육의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 보안교육 성과를 높이기 위한 실무적인 관점에서의 교육 훈련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level of security awareness among employees has often been pointed out as the main cause of each corporate security incidents, and the importance of security education has been steadily emphasized to improve security awareness. For this study, we searched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ecurity education researches from 2001 to 2020 based on RISS, DBpia, Web of Science, and Scopus. And we reviewed 4,636 interdisciplinary studies based on their appropriateness to the purpose and scope of this study. As a result, we finally selected 17 papers listed in the KCI and SSCI. We analyzed the study by dividing the classification criteria into research methods, statistical methods, security education targets, research organization, security education contents, security education measurement tools, and security education performanc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of security education, this study presen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security education and proposed practical education and training plans to enhance security education performa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분석과정 및 분석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개선방안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델파이 및 AHP를 활용한 방산업체 보안 평가 지표 개발
- 기업보안교육의 국내외 연구 동향과 개선방안
- 목조문화재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드론 활용방안
- Cyber Security Management of Businesses and Their Formulation of Culture via a Theoretical Approach
- 직접민주주의 적용과 한계에 관한 헌법적 고찰
- 위드 코로나 시대에 스포츠 안전의 패러다임 변화와 대응
- 대학 보안교육 강화를 통한 보안인식 제고 방안 연구
- 레그테크를 통한 금융회사 내부통제 강화를 위한 개선방안
- 국가공인 산업보안관리사(ISE) 자격제도의 태동에 관한 고찰과 발전방안
- 경찰관서 청사방호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 외국인 전용카지노 보안담당자에 대한 사회적 지원이 자아탄력성 및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 경호경비적 관점에서 자치경찰제 도입에 관한 시론적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