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위드 코로나 시대에 스포츠 안전의 패러다임 변화와 대응
이용수 681
- 영문명
- Paradigm Change and Response of Sports Safety in the Era of With-Corona
- 발행기관
- 한국보안관리학회(구:한국경호경비학회)
- 저자명
- 함주일(Ham, Ju-il)
- 간행물 정보
- 『시큐리티연구』시큐리티연구 제67호, 99~12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위드 코로나 시대에 외부 환경의 변화에 따른 스포츠의 변화와 사례들 검토, 스포츠 안전 개념의 패러다임의 변화와 대응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부연하면, 위드 코로나 시대에 접어들어 급속화한 비대면, 거리두기 생활양식으로의 전환으로 스포츠 안전이 단순 상해 및 시설 및 운동 장비 사용의 안전 등의 안전관리에서 사이버 보안과 공중보건 및 위생의 감염병 방역 등 안전 영역으로도 확대되었음을 스포츠 안전의 인식에 대한 전환과 확대를 살펴본다. 그리고, 관련 정책들이 뒷받침 되는 등 실행 가능하고, 지속가능한 스포츠 안전을 위한 전향적인 대책들로 ① 비대면 스포츠의 양태와 대응의 분류를 통한 명료화, ② 비대면 스포츠 환경의 안전 대응 방향 설정, ③ 스포츠 안전 관리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 제안, ④ 스포츠 안전 정책, 관련 전문가 양성 스포츠 안전 조사 등 대응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changes and cases in sport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in the era of with corona, and to identify paradigm shifts and responses to the concept of sports safety. In other words, due to the rapid transition to a non-face-to-face and distancing lifestyle in the with-Corona era, sports safety is simple from injury and safety management such as the use of facilities and exercise equipment to cyber security and infectious diseases of public health and sanitation We look at the transformation and expansion of the perception of sports safety, which has also been expanded to safety areas such as quarantine. And, as proactive measures for actionable and sustainable sports safety, such as supported by related policies, ① clarification through classification of non-face-to-face sports aspects and responses, ② setting safety response directions for non-face-to-face sports environments, ③ sports Proposal to establish governance for safety management, ④ sports safety policy, and related expert training sports safety investigation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코로나19가 가져올 스포츠계의 변화 양상
Ⅲ. 비대면 스포츠의 사례들
Ⅳ. 스포츠 안전 패러다임의 변화와 대응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델파이 및 AHP를 활용한 방산업체 보안 평가 지표 개발
- 기업보안교육의 국내외 연구 동향과 개선방안
- 목조문화재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드론 활용방안
- Cyber Security Management of Businesses and Their Formulation of Culture via a Theoretical Approach
- 직접민주주의 적용과 한계에 관한 헌법적 고찰
- 위드 코로나 시대에 스포츠 안전의 패러다임 변화와 대응
- 대학 보안교육 강화를 통한 보안인식 제고 방안 연구
- 레그테크를 통한 금융회사 내부통제 강화를 위한 개선방안
- 국가공인 산업보안관리사(ISE) 자격제도의 태동에 관한 고찰과 발전방안
- 경찰관서 청사방호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 외국인 전용카지노 보안담당자에 대한 사회적 지원이 자아탄력성 및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 경호경비적 관점에서 자치경찰제 도입에 관한 시론적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