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국인 전용카지노 보안담당자에 대한 사회적 지원이 자아탄력성 및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72
- 영문명
- Effects of Social Support from a Casino Security Officer Exclusively for Foreigners on Ego-Resilience and Job Engagement
- 발행기관
- 한국보안관리학회(구:한국경호경비학회)
- 저자명
- 김형석(Kim, Hyeong Seok) 강현(Kang, Hyeon)
- 간행물 정보
- 『시큐리티연구』시큐리티연구 제67호, 235~26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외국인 전용카지노 보안담당자의 사회적 지지가 자아탄력성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연구목적을 규명하기 위하여 2020년 12월부터 2021 년 02월까지 외국인 전용카지노 보안담당자를 모집단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목적을 충분히 설명한 뒤 동의를 얻고,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회수된 220부의 자료에서 고정응답반응을 보이는 일부 설문지를 제외하여 최종분석에는 202를 활용하였다.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 증의 결과로는 첫째, 사회적 지원의 상사자원과 동료자원이 자아탄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사회적 지원의 상사자원과 동료자원은 직무열의에 헌신과 몰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열의에 활력에는 상사지원만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아탄력성은 직무열의에 헌신, 몰두, 활력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COVID-19의 장기화로 직무에 대한 소진을 차단하고, 예방하기 위해서 직무열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상사의 지원 그리고 동료의 지원이 원활할 수있는 분위기 조성, 조직문화의 적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동시에 자아탄력성을 향상을 위한 조직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verify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of foreign-only casino security officers on job enthusiasm. In order to identify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2020 to February 2021, with foreign-only casino security personnel as a population. After fully explaining the purpose of the survey, consent was obtained and the survey was answered using a self-evaluation technique. 202 was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some questionnaires that had a fixed response from the collected 220 copies of the data.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hypothesis verification, first, the upper and lower resources of social support and peer resources had a static impact on self-elasticity. Second, social support s boss resources and co-workers resources had a static impact on dedication and commitment, and only boss support had a static impact on the job s enthusiasm. Third, self-elasticity has been shown to have a static effect on dedication, engagement, and vitality to work enthusiasm.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rolonged COVID-19 should be able to improve job fever in order to prevent and prevent exhaustion of duties, creating an atmosphere where support from superiors and colleagues can be smooth, and applying organizational culture. At the same time, it suggests that organizational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self-elastici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의 방법
Ⅲ. 분석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델파이 및 AHP를 활용한 방산업체 보안 평가 지표 개발
- 기업보안교육의 국내외 연구 동향과 개선방안
- 목조문화재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드론 활용방안
- Cyber Security Management of Businesses and Their Formulation of Culture via a Theoretical Approach
- 직접민주주의 적용과 한계에 관한 헌법적 고찰
- 위드 코로나 시대에 스포츠 안전의 패러다임 변화와 대응
- 대학 보안교육 강화를 통한 보안인식 제고 방안 연구
- 레그테크를 통한 금융회사 내부통제 강화를 위한 개선방안
- 국가공인 산업보안관리사(ISE) 자격제도의 태동에 관한 고찰과 발전방안
- 경찰관서 청사방호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 외국인 전용카지노 보안담당자에 대한 사회적 지원이 자아탄력성 및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 경호경비적 관점에서 자치경찰제 도입에 관한 시론적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