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학 감상에서의 주체와 타자
이용수 37
- 영문명
- A Study on Soul-mouse story in the respect of Literatherapy and Educational Application
- 발행기관
- 국문학회
- 저자명
- 이인경(Inkyung Lee)
- 간행물 정보
- 『국문학연구』제16호, 1~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1.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research is to analyze Soul-mouse story in terms of literature therapy and apply them into the field of education. Where the literature classes are held is the field where student’s narrative, literary narrative and teacher’s narrative interact. Therefore, it is a big mistake that literature education has been focused on examining the literature itself or on simply implanting educators’ viewpoints and philosophy to the students. The ultimate goal of literature education should be to enrich students’ sentiments and their lives through literary work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educators’ sentiment should be healthy. This research is to report examples of literature therapy attempted with the medium of folktales to enable students, who desire to teach Korean literature, to acquire sound self-narrative. As the result of this study, al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literature therapy have admitted that their trauma was cured to a great extent and they got encouraged to realize their merits. In conclusion, this research proved that Soul-mouse story was very effective for them to be well-qualified teachers.
목차
Ⅰ. 문제의 발견
Ⅱ. 문제 해결을 위한 시도 - 문학치료 기법을 도입한 ‘설화 읽기’ 수업
Ⅲ. <혼쥐> 설화의 문학치료학적 해석과 교육적 가치
Ⅳ. <혼쥐> 설화의 문학치료학적 읽기와 교육적 효과
Ⅴ. 마무리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