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민대학교 소장 한글본 東稗洛誦 연구
이용수 19
- 영문명
- The Study on Dong Pae Nag Song belonged to GugMin University library
- 발행기관
- 국문학회
- 저자명
- 백승호(BAEK, SEUNGHO)
- 간행물 정보
- 『국문학연구』제16호,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1.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essay studied the structure and the meaning of newly found Dong Pae Nag Song which is belonged to GugMin University library. Dong Pae Nag Song belonged to GugMin University library is written with gracious court calligraphy. It contains 8 fouteilles. It is a korean translated version of ancient chinese Dong Pae Nag Song. The aspect of translation in Dong Pae Nag Song belonged to GugMin University library is: first, while ancinet chinese changed with ancient korean, the specific information such as names, geographical designations were omitted or alternated with common nouns; second, the korean version Dong Pae Nag Song emphasized on a dramatic effect by extending the conversation between characters and showing the mental state of the character; In the translation of complicated chinese, it was summerized or modificated; fourth, there are totally original contents which were not contained in chinese version. This tendency means the korean version has narrative figures rather than informative figure because of changing language.
목차
1. 서론
2. 한문본 『東稗洛誦』 이본 검토
3. 국민대 소장 『東稗洛誦』의 구성과 체제
4. 국민대 소장 『東稗洛誦』의 번역 양상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