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농업교사의 전문성과 교육요구
이용수 17
- 영문명
- Professionalism and Educational Needs of Agricultural Teachers in Vocational High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 저자명
- 나승일(Seung-Il Na)
- 간행물 정보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제38권 제2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시대변화에 따른 농업교사들의 전문성에 대한 수행수준과 그에 다른 교육요구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군집 표집에 의해 21개 농업계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418명의 농업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에 사용된 조사도구는 성과중심교사교육 모듈(Performance-Based Teacher Education Modules)의 14개 영역, 총 132개 전문성에 대해 농업교사 입장에서의 중요성 인식 수준과 현재 실제적으로 수행하는 수준을 5점 리커트척도로 응답하도록 구성하였다. 최종 분석에 비록 244부가 사용되었지만 일반적 특성이 전체 모집단과 유사하였고, 각 전문성에 대한 농업교사의 교육요구는 보리치(Borich)의 요구도 계산공식이 사용되었다. 주요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① 14가지 전문성 영역 가운데, 우리나라 농업교사에게 중요한 전문성 영역은 수업/교수 계획, 생활지도, 기본능력 지도, 전문적 역할과 개발, 수업/교수 관리 영역 등이다. ② 농업교사들의 14가지 전문성 영역에 대한 실제 수행능력 수준은 대체로 높지 않은 보통 수준인데, 특히 프로그램 기획, 개발 및 평가, 학교와 지역사회의 연계, 성인교육 전문성에 대해서는 보통 이하 수준이다. ③ 농업교사들은 14가지 전문성 영역 전체에 대해 높은 교육요구를 지니고 있다. ④ 농업교사들은 성별, 학력, 교직경력, 교직진입경로, 지위와 같은 개인적 특성에 따라 전문성 영역별 교육요구 수준이 다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sent performance level and the educational needs of agricultural teachers on professional competencies.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418 agricultural teachers by the cluster sampling drawn from the sampled 21 vocational agriculture high schools.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which consisted of professional competencies scale including 14 domains based on Performance-Based Teacher Education Modules. The professional competencies scale consisted of 5-point Likert-type 132 items for them to rate the importance and also to indicate the present performance level. A questionnaire was mailed to the sample and 244 return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fter data cleani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ample same as that of population and the educational needs of teachers were calculated by using the Borich s needs assessment formula. Agricultural teachers perceived important on all the professional competencies and particularly more important on instructional planning, guidance, assisting students in improving their basic skills, professional role and development, and instructional management than the others. The perceived present performance levels of agricultural teachers on most professional competencies were above average below high but program planning, development, and evaluation, school-community relations, and teaching adults were below average. Agricultural teachers had the high educational needs on the all the professional competencies and a different level of educational needs on the professional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ir gender, terminal educational level, teaching experience, path of entering teaching profession, and posi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의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친환경농업 애니메이션 e-Learning 컨텐츠 교육효과성 검증
- 지방대학 혁신역량강화(NURI)사업에 대한 고객만족도 조사 연구
- 데이터마이닝 분석을 통한 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 예측 모형
- 학교4-H의 활성화 방안
- 농업교사의 전문성과 교육요구
- 농촌지역 학부모 및 교사의 도농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혁신 요구분석
-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발달특성과 전문성의 관계
- 귀농자의 귀농유형별 영농정착과정
- 「농업이해」교과의 효율적 학습을 위한 멀티미디어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사회환경교육 지도자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 실업계 고등학교 평가를 위한 영역 및 지표 개발
-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유형 진단 도구 개발과 타당화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