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방대학 혁신역량강화(NURI)사업에 대한 고객만족도 조사 연구
이용수 14
- 영문명
- Customer Satisfaction Survey on NURI(New University for Regional Innovation) Project
- 발행기관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 저자명
- 이장익(Jang-Ik Lee)
- 간행물 정보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제38권 제2호, 269~28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누리사업(지방대학혁신역량강화사업)의 정책적 적실성(relevance)의 확보와 향후 사업추진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고객만족도의 개념을 활용한 누리사업 참여자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번 조사결과 가장 특징적인 것은 누리사업에 대한 만족도, 참여도 등에서 산업체의 평가 점수가 상대적으로 낮다는 점이다. 누리사업 전반에 대한 산업체의 만족도는 3.28점(5점 만점)으로 학생(3.54점)과 교수(3.44점)에 비해 낮았다. 그리고 소속된 누리사업단의 업무수행에 대한 만족도를 포함하여 소속 사업단에 대한 각종 평가에서도 전 영역에 걸쳐 교수들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또한 누리사업단 소속 대학 교수와 산업체 임직원간에 지방대학 혁신역량 강화사업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개입의 필요성에 의견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지표로 보면 지방대학 혁신역량 강화사업의 필요성에 대하여 교수집단은 92.2의 높은 동의 의견을 보인 반면 산업체 임직원은 84.6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 조사연구의 결과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누리사업 추진방안에 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노동 및 산업정책과의 연계, 사업단과 관련 산업체 및 지방단체와의 파트너십 구축, 사업단 교수의 산업체 지원 동기 유발을 위한 인센티브방안 수립, 대학 중심의 사업 추진에서 산업체의 적극적 참여를 도모하기 위한 사업단 운영참여제도 강화 등 대학과 지역산업체와의 연계강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참여자 혹은 참여기관의 특성에 따라 사업에 대한 인지도, 만족도, 성과 등에서 적지 않은 차이가 나타날 것이라는 예측이 이번 조사를 통하여 확인되었다. 따라서 사업단의 특성과 다양성을 고려한 사업추진의 유연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누리사업의 추진에 있어서 정부는 ‘관리’와 ‘지원’ 의 적절한 균형을 중요시 할 필요가 있다. 넷째, 누리사업에 참여하는 주체들을 조사대상으로 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번 조사결과 누리사업에 대한 인지도가 예상보다 낮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누리사업에 대한 홍보와 인지도 향상 노력이 필요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customer satisfaction survey on NURI(New University for Regional Innovation)project. The NURI project is a strategic alternative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by investing into regional universities. This project will continue into 2008 and at the end of project it is expected to increase the regional universities innovative competitiveness and thus increase the regional capacity. Customer satisfaction survey was developed and conducted with 1,305 randomly selected samples. The reliability coefficient of the survey instrument was .8531 overall. The survey results showed high overall satisfaction on NURI project. However, data suggests that the opinions on the effect of NURI investment on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are less clear than the effect on each NURI funded regional universities. Also, the participating students and facult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atisfaction than participating industries sector. Based on survey data analysis, some recommendations for NURI project management were proposed as follows: strengthen industry-campus partnership, increase diversity in project management, balance support and control on fundings, need to increase promotion and public relations for better public understanding and suppor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의 결과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친환경농업 애니메이션 e-Learning 컨텐츠 교육효과성 검증
- 지방대학 혁신역량강화(NURI)사업에 대한 고객만족도 조사 연구
- 데이터마이닝 분석을 통한 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 예측 모형
- 학교4-H의 활성화 방안
- 농업교사의 전문성과 교육요구
- 농촌지역 학부모 및 교사의 도농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혁신 요구분석
-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발달특성과 전문성의 관계
- 귀농자의 귀농유형별 영농정착과정
- 「농업이해」교과의 효율적 학습을 위한 멀티미디어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사회환경교육 지도자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 실업계 고등학교 평가를 위한 영역 및 지표 개발
-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유형 진단 도구 개발과 타당화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