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실업계 고등학교 평가를 위한 영역 및 지표 개발
이용수 5
- 영문명
- Developing Evaluation Areas and Indicators for Vocational High School
- 발행기관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 저자명
- 강경종(Kyeong-Jong Kang)
- 간행물 정보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제38권 제2호, 153~17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실업계 고교의 환경변화 및 직업교육에 대한 시대적 요구에 대응하고, 단위학교 운영의 효율성과 효과성 제고를 통한 실업계 고등학교 운영 체제 개선을 위해 실업계 고등학교에 대한 평가 영역 및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실업계 고등학교 평가 관련 선행연구 등을 통해 영역, 항목, 지표와 그 외의 문헌 연구 결과, 직업교육의 환경 변화, 시대적 요구 및 혁신 방안 등에서 제시한 내용에서 추출된 결과를 기초로 제1차 델파이 조사도구에 포함된 ⑴학교발전계획, ⑵교육과정, ⑶교원, ⑷학생, ⑸시설 및 설비, ⑹지역사회와의 연계, ⑺교육성과의 7개 영역, 25개 항목, 90개의 평가지표 등을 도출하고 제2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서 추가되거나 수정되어야 할 문항을 조사한 결과, 16개 지표를 추가하고 12개 지표를 수정하였다. 그 결과 6개 영역, 19개 항목, 69개의 평가지표를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실업계 고등학교의 개선 및 교육의 질 관리를 위해서는 이러한 평가 지표를 통한 지속적인 학교 평가의 실시와 평가 결과의 피드백이 정례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평가 목적, 방법, 절차, 운영조직, 주기, 영역, 결과의 활용을 명시화하고, 평가에 필요한 인력 및 재정 확보를 위한 실업계 고등학교 평가 정책이 입안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valuation Evaluation Areas and Indicators for vocational high schools by major fields, which could keep the continuity and the credibility by way of revising the current evaluation tools, and enhance the rationality of evaluation result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ly, the various related concepts of the school evaluation were explored by reviewing previous related studies and data analysis, and to find the suggestions for developing the evaluation standards for vocational high schools those were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the domestic school evaluation. In order to establish the evaluation areas and items by the major fields of study, two-round Delphi technique was used to collect data through a series of survey to obtain the consensus of a group of experts in evalua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In addition, the workshop was held to verify the credibility of the evaluation areas and the evaluation item and develop specific evaluation items by each evaluation item and evaluation indicators by each specific evaluation item. Based on the results, six areas, nineteen sub-areas, sixty nine indicators were identified fitness for Evalua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연구의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친환경농업 애니메이션 e-Learning 컨텐츠 교육효과성 검증
- 지방대학 혁신역량강화(NURI)사업에 대한 고객만족도 조사 연구
- 데이터마이닝 분석을 통한 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 예측 모형
- 학교4-H의 활성화 방안
- 농업교사의 전문성과 교육요구
- 농촌지역 학부모 및 교사의 도농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혁신 요구분석
-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발달특성과 전문성의 관계
- 귀농자의 귀농유형별 영농정착과정
- 「농업이해」교과의 효율적 학습을 위한 멀티미디어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사회환경교육 지도자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 실업계 고등학교 평가를 위한 영역 및 지표 개발
-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유형 진단 도구 개발과 타당화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