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보육교사가 보육실습의 하루일과를 통해 본 영유아참여권
이용수 241
- 영문명
- Children’s participation rights of observed by prospective childcare teachers during their daily routines of practicum in child care center
- 발행기관
-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 저자명
- 안지혜(Ahn, Jee Hye)
- 간행물 정보
- 『영유아교육지원연구』제5권 제2호, 121~14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가 하루일과를 통해 본 영유아참여권은 어떠한지 그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담아내고 탐색해보고자 보육실습을 경험한 예비보육교사들의 저널을 수집, 분석하였다. 하루일과를 통해 본 영유아참여권의 모습은 몇몇 유아, 일부의 참여로도 진행되는 대·소집단활동, 영유아가 주도적으로 놀이해야 진정한 자유선택놀이, 놀이할 공간 선택에 참여하고픈 바깥놀이, 유아가 선택하지 않아 집중이 어려운 특별활동, 즐거움을 나누고 싶은 식사시간, 휴식을 명분으로 강요가 될 수 있는 낮잠시간, 배변의사보다는 실수하지 않는 것이 더 중요해질 수 있는 배변시간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보육현장에서의 영유아참여권 존중에 대한 실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고, 교사양성과정의 내용구성에 있어 영유아의 삶과 연결된 권리존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초자료로서 활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vivid witnesses and journals of the prospective childcare teachers, who had experienced the practicum in child care center, about children’s right of participation during their daily routines were obtained and investigated. Daily routines in which the children’s rights of participation should have been guaranteed were as follows: large- or small-group activities, which can be progressed with a couple of or some children; free playtime, which would be truly free when children select what to play; outdoor playtime, where children might always want to play; special activities, during which children might not concentrate because they did not choose to do those activities; mealtime, during which children would not enjoy if they are forced to eat; nap time during which children might be forced to sleep; and toilet training time, during which making no mistakes might be more important than willing to pee or poop.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ould be beneficial to understand actuality of respect for children’s right of participation in the field of child care, and to use as basic data for making teacher training courses to respect children’s rights that are connected to their lif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 영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
- STEAM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 북 아트를 활용한 유아과학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통합보육 실천을 위한 장애인식 주관성연구
- 레지오와 발도르프 유아교육 비교
- 그림책에 기초한 창의극 활동이 유아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 주변 나뭇가지를 활용한 목공활동이 만5세 유아의 공간능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예비보육교사가 보육실습의 하루일과를 통해 본 영유아참여권
- 예비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전공만족도, 직무수행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