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TEAM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이용수 658
- 영문명
-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and demands on STEAM education: focused on STEAM education related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 저자명
- 강경희(Kang, kyung hee)
- 간행물 정보
- 『영유아교육지원연구』제5권 제2호, 1~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STEAM 관련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 198명을 대상으로 유아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 및 교사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유아 STEAM 교육의 현장 적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STEAM 교육에 대한 이해와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통합과 융합에 대한 이해도’가 다소 낮게 나타났다. 유아 STEAM 교육의 내용 요구도에서는 교사대 아동비율, 또래관계증진, 창의성, 과학에 대한 성취, 실생활관련 내용에 대한 부분이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현장 적용성을 위한 환경 요구도에서는 프로그램 개발 및 지도안, 원장, 교사의 의지와 신념, 학부모의 인식, 지속적인 교사교육이 필요함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 STEAM 교육을 실행하는데 물리적 환경개선을 위한 유아교육학계의 노력과 정책적 지원방안이 모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need for awareness of infant STEAM education and the contents of teacher education, and to seek ways to enhance the on-site applicability of infant STEAM education. 198 infant teachers with experience in STEAM-related education took part in this research.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STEAM education and the awareness of the need were high overall, but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integration and convergence was somewhat low. In the section of the demands of STEAM education for infants, the teachers replied that teacher-infant ratio, the promotion of peer relationship, creativity, achievement in science, and real life-related content were relatively insufficient. And in the section of the environmental demands for field applicability, the teachers replied that the program development and guidance, the attitude and belief of directors and teachers, awareness of parents, and continuing teacher education were need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fforts of the pedagogic circle to improve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the educational policy level support should be sought to implement the infant STEAM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 영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
- STEAM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 북 아트를 활용한 유아과학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통합보육 실천을 위한 장애인식 주관성연구
- 레지오와 발도르프 유아교육 비교
- 그림책에 기초한 창의극 활동이 유아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 주변 나뭇가지를 활용한 목공활동이 만5세 유아의 공간능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예비보육교사가 보육실습의 하루일과를 통해 본 영유아참여권
- 예비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전공만족도, 직무수행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