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호학과 패러디를 통한 광고의 접근
이용수 17
- 영문명
- Decoding and Encoding Advertisement with Semiotics and Parody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손지현(Jihyun Sohn)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26권, 141~16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사회의 중요한 시각문화의 하나인 광고의 기호학적 접근을 통해 예비교사를 위한 시각문화 교육의 방법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기호학을 통해 광고의 의미를 읽도록 하고 패러디의 사회적 기능과 이데올로기를 살펴보았다. 연구자는 소쉬르, 바르트, 퍼스의 기호학적 이론을 탐색하고 패러디의 개념, 특성, 구조를 기호학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기반으로 예비교사들이 광고를 읽고 제작하는 과정에서 이미지의 읽기와 쓰기를 통한 시각문화 교육 활동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가 광고의 언어적, 비언어적 기호들이 가지는 의미를 신화적 차원에서 이해하고 패러디 광고를 제작하여 시각문화를 사회적 관점에서 볼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미술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framework for preservice teachers to decode and encode advertisement images. This article examines semiotics to analyze advertisement. Signifier and signified in sign systems are identified. Sign systems produce meaning making through denotation and connotation. Barthe named myth associated with ideology in socio-cultural context. It is important for preservice teachers to have learning experience of encoding and decoding advertisement messages because of features of contemporary world so called visual culture. Parody is a significant strategy for encoding and decoding. Images are read, interpreted, and reinterpreted through flux of visual culture. The help of contemporary technology including computers, Internet, and graphic programs makes it possible for people easily to utilize images. Parody becomes social critiques for people to deal with contemporary issues in societies. Preservice teachers can practice semiotics and parody for their future students. Based on conceptual framework of semiotics, preservice teachers can decode messages in advertisements. They can make meanings with parody by remaking reinterpreting text in advertisements. With the learning experience in art classes, preservice teachers can participate in visual culture world in pedagogical approaches.
목차
Ⅰ. 서론
Ⅱ. 광고에 대한 교육적 적용
Ⅲ. 기호학과 이미지 읽기
Ⅳ. 패러디와 이미지 쓰기
Ⅴ. 예비교사를 위한 기호학과 패러디를 통한 광고의 접근
Ⅵ.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