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미술교육에서 ‘다색판화’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이용수 8
- 영문명
- Problems and Improvement of ‘Multicolored Printmaking’ in Elementary Art Education : Focusing on the Art Textbook of the 7th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박정환(Park Jungwhan) 장성모(Jang Sungmo) 유광영(Ryu Kwangyoung) 김계영(Kim Gyeyoung)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26권, 107~140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초등미술교육에서 다색판화는 비중있게 배려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장 교사와 학생들이 표현활동에서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한 시도로서 구체적으로 초등현장의 ‘다색판화’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실제적이고 현실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초등교육에 적절한 다색판화의 내용과 기법을 모색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우리나라 초등학교 6학년 미술교과서의 단원 ‘다색판화’의 내용을 정리하고, 다색판화 지도에 따른 운영 실태를 광주 전남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교사들에게 설문조사하였다. 둘째. 단원 ‘다색판화’의 내용과 수집한 설문자료를 종합분석하고, 우리나라 초등학교 6학년 미술교과서의 단원 ‘다색판화’의 문제점을 구체적인 미술활동 면에서 검토하였다. 셋째. 이를 기초로 다색판화지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3개 초등학교 학생에게 적용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초등미술교육에서 다색판화의 문제점에 따른 개선방안을 통해 실천적인 초등미술교과서와 교사용지도서의 집필을 위한 다색판화 교수학습방법의 고려해야 될 방향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
영문 초록
Even though ‘multicolored printmaking’ is considered significantly in elementary art education, teachers and students have difficulty in expressing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problem of ‘multicolored printmaking’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try to improve the problem. Also this study pursues a practical and realistic improvement to find out appropriate contents and techniques of ‘multicolored printmaking’ for elementary education. For the accomplishment of these purpose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unit of ‘multicolored printmaking’ of art textbook in the 6th grade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and conducted a survey on ‘multicolored printmaking’ teaching operation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iding in Gwangju and Jeonnam province. Second, this study synthesized and analyzed the unit of ‘multicolored printmaking’ and collected the survey results. In addition, this study reviewed the problem of the unit in the aspect of a concrete art activity. Finally, the researcher proposed improvement and applied them to students in 3 elementary schools and recorded their artworks, observation notes, appreciation logs as applied cases. In consequence, it was possible to induce a direction of teaching ‘multicolored printmaking’ for practical elementary art textbook and teachers’ guide through the study.
목차
Ⅰ. 서론
Ⅱ. 초등미술교육에서 다색판화의 운영 실태와 문제점
Ⅲ. 개선방안
Ⅳ.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