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 감상발달에 관한 기초 조사
이용수 20
- 영문명
- A basic research on elementary students’ art appreciation development with the relation of grades and their preference for artworks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선(Kim, Jung-Sun)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26권, 1~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부터 6학년까지의 아동을 대상으로 각 학년별 ‘작품 감상 선호도’를 조사 분석하여 학년별 감상작품의 선호특성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초등학교)학년과 작품 선호도는 무관하다’는 연구 가설을 설정하고 5개 항목(단순/복잡, 현실/비현실, 개인적/사회적, 추상적/사실적, 내용 중심/형식중심)을 선정, 검사도구를 개발하여 A(작품만)/B(작품+키워드) 두 번의 검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초등학교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복잡한 소재, 현실적 주제, 사실적 표현의 내용중심 작품을 단순한 소재, 초현실적 주제, 추상적 표현의 형식중심 작품 보다 선호하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그 경향성이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For the education which appreciation education is appropriate there is a necessity which will understand the appreciation ability development of the child.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get basic data for systematic appreciation education. This is analysis of outcomes of research on a elementary school from grade 1 to grade 6 “WHICH WORK IS BETTER?” for art works. Grade and the work preference where is unrelated; Set the research construction which is and 5 items(simple/complex subject matter, factual/unreality subject, personal/social subject, abstractive/realistic expression, contents centered/formal centered) developed the lascivious test tool.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result, elementary school students generally preferred complicated subject matter, the contents central work of actual subject and realistic expression. Also According to grade the work preference changes. Specially 9, 10 year-old is visible many change in the center. Consequently the particular concern is demanded for 3,4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appreciation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감상 교육과 발달단계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