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NIE를 통한 미술교육 방법 연구
이용수 7
- 영문명
- The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of the education of fine arts : focus on advertising pictures in the newspaper, or illustration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이쌍재(Lee, Ssang-Jae)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26권, 163~18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교사교육을 담당하는 교육대학교에서 교사가 될 학생들에게 다양한 미술교육을 지도하기 위한 방안으로 시작되었다. ‘NIE’의 한 방법으로서 ‘NIE를 통한 미술교육 방법 연구’이다. 좀더 정확하게 말하면 ‘NIAE’이라고 해야 옳을 것이다. 즉 교사가 신문에 게재된 광고사진, 또는 일러스트를 재구성하여 제시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하여 학생들이 마음껏 상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모든 논리와 사고, 과학은 상상에서 출발한다. 어린이들은 논리나 과학이 먼저가 아니라 상상이 먼저인 것이다. 그러므로 이 방법을 통하여 어린이들이 재미있게 상상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전문가가 제작한 광고사진이나 일러스트에는 여러 가지 내용과 의미가 함축되어 있다. 이것을 교사가 수집하고 분류하여(여과과정) 유용한 자료를 재구성(가공과정)하여 제시하는 방법이다. 어떻게 재구성하느냐에 따라 수많은 상상을 할 수 있는 좋은 시각적 자료가 될 수 있다. 또 모든 영역의 교과와 통합해서 지도할 수도 있다. 여기에 제시된 재구성 방법들은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교사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하게 재구성 할 수 있다. 미술교육에서 항상 지적되는 시간의 문제도 해결할 수 있는 자료이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how would-be teachers the various teaching methods of the education of fine arts in the college of education. As one of the ‘NIE’ teaching Methods, this is the study on the education of fine arts. It is more precise to define this as ‘NIAE’. In other words, After teachers reconstruct advertising pictures, or illustration appeared in newspaper, they show students the reconstructed pictures. Through this reconstructed pictures, they can let students’ imagination run wild. Imagination is the starting point of all the logic and thought. First, students should display imagination, and then learn the logic and though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method is to help the students display their imagination with great interest Advertising picture, or illustration produced by experts implicate very various contents and meanings. after teachers collect them, they classified them(filtering course), reconstructed them as useful materials(process course), and teach the students them. To make good visual materials depend on the way the teachers recompose advertising pictures, or illustration so teachers can give the students the chance to display full play to their imagination. Also they can teach them through the integration of all the subjects Though this study shows a few examples of ways to reconstruct, teachers can reconstruct advertising pictures, or illustration with variety as many as possible. they can solve the problems of times always presented in the fine arts by using this materials,
목차
Ⅰ. 서론
Ⅱ. NIE와 미술교육
Ⅲ. 연구의 실제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