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교사를 위한 PBL 기반 과학·기술 융합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이용수 148
- 영문명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Convergence Gener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PBL for Pre-service Teacher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뇌·AI기반교육연구소
- 저자명
- 홍남인(Nam-In Hong) 이경택(Kyung-Taek Lee) 최혁준(Hyukjoon Choi)
- 간행물 정보
- 『Brain, Digital, & Learning』제10권 제4호, 431~44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science and technology convergence cultural programs and derive implications for fostering pre-service teachers with the ability to raising teachers practice training for creative fusion talents in the school field, which aims to achieve educational innovation 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eing based on a project-based learning (PBL). The program was organized that proved to be effective in problem-solv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collaborative learning. And, in the course of problem solving, it was organized so that it could utilize the an Arduino board, 3D printer, laser processing machine, and 3D modeling program properly. In addition, heuristic science writing was presented to promot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ith others and to provide a guide for the course of exploratory activities.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24 pre-service teachers for 15 weeks in a liberal arts. In addition, a pre- and post-survey was conducted to identify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and post-survey also check the effectiveness and improvement of the program.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it was revealed that pre-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develop their ability to understand and utilize the latest technology, and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making them aware of the understanding and necessity of convergence education which was actively underway at school sites.
목차
I. Introduction
II. Materials and Methods
III. Results
IV.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거울 과제에 대한 자기조절 과정의 fNIRS 두뇌 활성 규명과 딥러닝 기반 예측 모델 탐색
- 예비초등교사의 악보 읽기 능력에 따른 시선 이동 분석
- ABO식 혈액형 유전자를 활용한 분자생물학 탐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빛의 굴절 현상의 설명에서 나타나는 시각주의와 비과학적 설명의 유형 - 시선추적 연구
- 하브루타를 활용한 기후변화 교수학습이 고등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과 TIMSS 2019 생명과학 영역의 관계 분석
- SNA(Social Network Analysis)를 통한 고등학생의 온라인 토론에 나타난 온라인 상호작용 양상 분석
-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적용한 STEM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중학교의 ‘우주탐사’ 주제를 중심으로
- 예비교사를 위한 PBL 기반 과학·기술 융합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나이지리아 교장 역량에 대한 교장과 교사의 인식
- 아동의 변환기하 문제해결에서 fNIRS에 의한 두뇌 활성 연구: Tangram 활용하여
- 손가락기능운동 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인지능력과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들이 성교육 교재를 읽는 동안 나타나는 안구 운동
-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강화된 조별 발표 물리 수업이 마이스터고 학생의 과학 관련 태도와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 브레인 액티비티-메이즈 프로그램의 적용이 중학생의 뇌 기능에 미치는 영향
- 비비례 모델 적용을 통한 곱셈적 사고와 나눗셈 학업성취도 향상 분석
- 교실수업 활용을 위한 인공지능 챗봇의 개발 및 활용 모형: 학습대화 설계 중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