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실수업 활용을 위한 인공지능 챗봇의 개발 및 활용 모형: 학습대화 설계 중심
이용수 1,256
- 영문명
- AI Chatbot Design and Development Model for Classroom Instruction: Designing Learning Conversation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뇌·AI기반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혜정(Hye Jeong Kim) 유성애(Sungae Yoo) 김은영(Eun-young Kim)
- 간행물 정보
- 『Brain, Digital, & Learning』제10권 제4호, 535~54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chatbot design and development model that promotes teachers’ utilization of AI chatbots during instruction. Due to their abilities to understand and respond to our natural languages, AI chatbots can assist students’ learning on various subject topics through the conversations that they have with students. More importantly, AI chatbots can adapt their conversations to the learning needs of students. In spite of such potential benefits of AI chatbots, use of chatbots in Korean schools is rare. To promote use of chatbots by teachers across all disciplines, it is first necessary to provide teachers with general guidelines on how to plan and build a AI chatbot. The proposed model in this study provides such guidelines, from planning to creating dialogues, for building chatbots as assistive learning tools for students. The strength of this model is in its ability to tailor instructional feedback to the needs of the students, varying instructional dialogues in accordance to the students’ knowledge level. The key steps of the model include Preparation (analyses of students’ knowledge level and subject content), Learning-Conversation Design, Development, Testing, and Application. The resulting model is intended to provide a pedagogical and technical guideline for teachers AI chatbot design and development for their instruction.
목차
I. Introduction
II. Artificial-Intelligence Chatbot and Learning Conversation
III. Learning-Conversation Design Model for Building AI Chatbot
IV. Conclusion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거울 과제에 대한 자기조절 과정의 fNIRS 두뇌 활성 규명과 딥러닝 기반 예측 모델 탐색
- 예비초등교사의 악보 읽기 능력에 따른 시선 이동 분석
- ABO식 혈액형 유전자를 활용한 분자생물학 탐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빛의 굴절 현상의 설명에서 나타나는 시각주의와 비과학적 설명의 유형 - 시선추적 연구
- 하브루타를 활용한 기후변화 교수학습이 고등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과 TIMSS 2019 생명과학 영역의 관계 분석
- SNA(Social Network Analysis)를 통한 고등학생의 온라인 토론에 나타난 온라인 상호작용 양상 분석
-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적용한 STEM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중학교의 ‘우주탐사’ 주제를 중심으로
- 예비교사를 위한 PBL 기반 과학·기술 융합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나이지리아 교장 역량에 대한 교장과 교사의 인식
- 아동의 변환기하 문제해결에서 fNIRS에 의한 두뇌 활성 연구: Tangram 활용하여
- 손가락기능운동 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인지능력과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들이 성교육 교재를 읽는 동안 나타나는 안구 운동
-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강화된 조별 발표 물리 수업이 마이스터고 학생의 과학 관련 태도와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 브레인 액티비티-메이즈 프로그램의 적용이 중학생의 뇌 기능에 미치는 영향
- 비비례 모델 적용을 통한 곱셈적 사고와 나눗셈 학업성취도 향상 분석
- 교실수업 활용을 위한 인공지능 챗봇의 개발 및 활용 모형: 학습대화 설계 중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