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손가락기능운동 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인지능력과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52
- 영문명
- Effects of Finger Function Exercise Program on Cognitive Ability and Attention of Elderly Women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뇌·AI기반교육연구소
- 저자명
- 윤두호(Doo-Ho Yoon) 이혜윤(Hye-Yoon Lee) 김경래(Kyeong-Lae Kim)
- 간행물 정보
- 『Brain, Digital, & Learning』제10권 제4호, 391~39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finger function exercise programs on cognitive ability and attention of the elderly women.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9 elderly women of exercise group and 12 of comparison group were selected from among women over the age of 65 who belong to the Senior Citizens’ Association of D city, and cognitive ability and attention of which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exercise programs(performed 3 times a week for 12 weeks). The exercise program, which was conducted on women aged over 65 years for 12 weeks, had a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improvem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K-MMSE total score, orientation (time), attention and calculation’. The Finger Function Exercise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attention. Significant differences shown in the all three Cancellation tasks of ‘character, number and symbol’, with greater variation in the exercise group. In conclusion, the 12-week program of Finger Function Exercise Program has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cognitive and attention of women aged over 65 years. We sugges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some data needed to prevent and delay dementia in the elderly and improve brain health.
목차
I. Introduction
II. Methodology
III. Results
IV. Discussion
V.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거울 과제에 대한 자기조절 과정의 fNIRS 두뇌 활성 규명과 딥러닝 기반 예측 모델 탐색
- 예비초등교사의 악보 읽기 능력에 따른 시선 이동 분석
- ABO식 혈액형 유전자를 활용한 분자생물학 탐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빛의 굴절 현상의 설명에서 나타나는 시각주의와 비과학적 설명의 유형 - 시선추적 연구
- 하브루타를 활용한 기후변화 교수학습이 고등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과 TIMSS 2019 생명과학 영역의 관계 분석
- SNA(Social Network Analysis)를 통한 고등학생의 온라인 토론에 나타난 온라인 상호작용 양상 분석
-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적용한 STEM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중학교의 ‘우주탐사’ 주제를 중심으로
- 예비교사를 위한 PBL 기반 과학·기술 융합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나이지리아 교장 역량에 대한 교장과 교사의 인식
- 아동의 변환기하 문제해결에서 fNIRS에 의한 두뇌 활성 연구: Tangram 활용하여
- 손가락기능운동 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인지능력과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들이 성교육 교재를 읽는 동안 나타나는 안구 운동
-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강화된 조별 발표 물리 수업이 마이스터고 학생의 과학 관련 태도와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 브레인 액티비티-메이즈 프로그램의 적용이 중학생의 뇌 기능에 미치는 영향
- 비비례 모델 적용을 통한 곱셈적 사고와 나눗셈 학업성취도 향상 분석
- 교실수업 활용을 위한 인공지능 챗봇의 개발 및 활용 모형: 학습대화 설계 중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