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사의 반성적 실천

이용수  10

영문명
A Teacher s Reflective Practice: A Case Study of an Art Class on Andy Warhol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류지영(Ryu, Ji-Yeong)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32권, 165~197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9.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수업계획과 실천의 과정을 통해 미술수업을 분석하고 이를 교사의 반성적시각을 통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중문화와 결합된 예술이자 대표적인현대미술의 장르인 팝아트를 주제로 하여, 앤디 워홀의 작품을 초등학교 미술수업에서감상하고 표현하는 과정을 기술하고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교사는 앤디워홀의작품을 제재로 미술수업을 진행하였다. 현재 아동의 삶은 대중매체와 영상매체에 밀접하게 접하여 있고 그 영향력은 매우 크다. 이러한 아동의 관심을 반영한 교육은 학습자가 흥미와 재미를 가지고 미술활동에 적극 참여 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일상의소재 또한 예술적 가치가 있으며 예술과 생활이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알고 학습자가 대중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이미지들을 비판적으로 해석하고 선별하는 능력을 기를수 있다. 동시에 미술을 통해서 사회를 이해하도록 하는 시야를 제공할 수 있다. 본연구에서는 앤디워홀의 작품을 활용한 교사의 수업을 되돌아보았고 이를 코트하겐의반성의 단계와 연계하여 그 과정을 기록하였다. 그 과정에서 교사는 자신의 실천을 의미 있는 텍스트로 해석해내며 지식과 교육적 행위, 미술과 아동의 표현 사이의 반성적인 절차를 이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is a study on a teacher’s reflective practice in an art class. The class is about Pop Art that combines art and popular culture, as a kind of contemporary art. Activities on art appreciation and expression about Andy Warhol s works in the elementary art class were described from the view of a teacher in this study. The role of reflection in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is very important. A teacher turns to face his class through reflection. Through reflective thinking, teachers’ ability will be improve. In a word, the teacher s reflection is to connect with teacher s class specialty. In this study, I intended to analyze the lesson plans and practice over the courses of an art class and the view of teachers through teachers’ reflection. The reason that Andy worhol s art works was chosen was as follows. children’s life is closely related to the mass media and the influence of visual images of idol stars is so powerful nowadays. As a result, knowledge and educational activity, between artworks and children s reflection, was distinguished. It helped understanding of procedures and behavior. In his class, the teacher used the images of art works of Andy Warhol and recorded the steps in each process of the art class. In the process, the meaning of the practice of teachers is found in his own interpretation to the text. The reflective thinking would be useful in teacher education as the result of this stud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수업 계획 및 실천: 교사의 기록
Ⅳ. 수업에 대한 고찰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류지영(Ryu, Ji-Yeong). (2012).교사의 반성적 실천. 미술교육연구논총, 32 , 165-197

MLA

류지영(Ryu, Ji-Yeong). "교사의 반성적 실천." 미술교육연구논총, 32.(2012): 165-1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