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입체조형 만다라를 활용한 창의·인성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용수 13
- 영문명
-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 Creativity & Character Program Using 3-Dimensional Mandala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박진희(Kim, Sun-Ah) 김선아(Park, Jin-Hee)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32권, 227~25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입체조형 만다라를 활용한 창의·인성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최근 관심이증가하고 있는 창의적 인재 육성에 있어 미술치료적 접근이 가지는 의미와 가능성을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의 정의적 요소와 인성 교육의내용이 중첩될 수 있음에 착안하여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창의·인성교육의 요소를 선정하고, 다양한 만다라 활동을 통하여 이를 통합적으로 발달시킬 수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단계별 목표는 창의·인성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미술치료적 목표가 유기적으로 연관성을 갖도록 계획되었다. 프로그램 적용 후창의적 인성 검사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창의·인성 발달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창의·인성 교육에 있어 미술치료적 접근이 가지는 가능성과 필요성을 탐색하고, 그 근거를 객관적인 결과를 통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develop a Creativity & Character program using 3-dimensional mandala and to manifest whether the art therapy approach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reativity & character development of children. Through literature review,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oncept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focusing on its central components, and explores the educational meaning of art therapy so as to unfold the possibility and significance of using art therapy as means to foster students’self-expression and sympathetic ability. The Creativity & Character program using 3-dimensional mandala developed in this study was implemented in M elementary school. 29 1st graders participated in 14 sessions. The result of this program was assessed through KEDI Creativity & Character Test. The analysis of pre-test and post-test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veral factors such as curiosity, humor, independence and self-confidence. Based on this result, it would be legitimate to say that the art therapy approach to art education can be a meaningful attempt to integrate creativity development and character education, and can result in the growth of child’s creative mind.
목차
Ⅰ. 도 입
Ⅱ. 이론적 배경
Ⅲ. 창의·인성 프로그램의 개발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9세기 감로탱화와 풍속화의 비교연구
- 미술에서 창의적 사고력과 사고과정의 특징 고찰
- 행복한 미술교육을 통한 창의성 교육
- 융합인재교육(STEAM) 관점에서 미술교과의 공감각(Synesthesia) 교육에 대한 논의
- 투사적 그림 검사를 활용한 아동화 심리연구
- 교사의 반성적 실천
- 쉴러에 근거한 미적 교육 방안 연구
- 예술교육을 통한 창의·인성교육
-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 4학년 미술과 교과서의 현장 적합성 검토
- 입체조형 만다라를 활용한 창의·인성 프로그램 개발 연구
- 미술사교육의 관점으로 본 초·중학교 미술교과서의 한국현대미술 도판 분석
- 오브제의 상징성을 통한 미술교육과 감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