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관찰용 미술영재행동척도 개발 연구
이용수 38
- 영문명
- A Study on Developing the ‘Artistic Behavior Scale’ for the Gifted in Art for Teacher Observation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강병직(Kang, Byoung-Jik) 맹희주(Maeng, Hee-Ju)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54권, 221~253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미술영재를 선발 할 때 잠재성을 중심으로 미술영재성을 판단 할 수 있는 관찰 평가도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 현장의 일선 교사들이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미술 영재성을 평가 할 수 있도록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된 미술영재행동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절차를 수행하였다. 첫 단계에서 미술영재 행동 척도 개발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미술영재성 관련 선행연구와 문헌연구를 통해 미술영재성 요인을 추출하여 ‘인지적 특성’, ‘표현적 특성’, ‘창의적 특성’, ‘정의적 특성’의 4개의 요인과 13개 하위요소로 구인화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 선정된 구인을 토대로 예비 문항 초안을 개발하고 전문가의 안면타당도 검토를 바탕으로 예비 문항을 선정하였다. 예비 문항에 대해 현장 미술교사들을 대상으로 신뢰도와 요인 분석을 통한 구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 예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 문항을 수정·보완하여 ‘정의적 특성’, ‘창의적 특성’, ‘인지·표현적 특성’의 3개 요인과 11개의하위 요소로 재구인화 하고 총 21개의 문항으로 본 문항을 개발하였다. 네 번째 본 조사 단계에서는 미술영재 담당 교사들 대상으로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고 미술영재 및일반학생들을 대상으로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이와 더불어 미술영재와 일반 학생들의미술영재성 차이를 확인하여 미술영재행동척도의 타당성을 높일 수 있었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신뢰도와 타당성이 확보된 ‘미술영재행동척도’를 최종 개발하였으며, 일반 학생과 영재 학생의 미술영재성 평가 점수를 기반으로 초등학교용과 중학교용의 행동 척도 표준 점수표를 제시하여 미술 영재성의 상대적 위치를 쉽게 판단하도록 하였다. 본연구에서 개발된 ‘미술영재행동척도’는 담임 또는 미술 교과 담당 교사가 일상에서 발현되는 미술 영재의 행동 특성을 체계적으로 관찰하고 진단하는 데 유용한 영재 판별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artistic gifted behaviors scale which is reliable and validated so that the teachers in the field can easily and effectively evaluate the art giftedness. In the first stage, 13 artistic giftedness factors were extract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studies. In the second stage, the preliminary question draft was developed and then it was verified through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by data from art teachers. In the third step,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preliminary items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and the three factors as such ‘positive characteristic’, ‘creative characteristic’, ‘cognitive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 were selected. In the fourth stage, the content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verified by the teachers. In the last stage, the ‘Artistic Behavior Scale’, which has reliability and validity, was finally developed. Based on the artistic giftedness scores of general students and gifted students, the standard scores of behavior scale for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were presented. The ‘Artisitic Behavior Scale’ can be used as a gifted discrimination tool for systematically observing and diagnos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artistic gifted children in classroom or art subject teache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절차 및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