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을 활용한 사회과 시민교육의 의의와 방법 탐색
이용수 44
- 영문명
- The Significance and Cases of Citizenship Education in Social Studies Using Art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최정순(Choi, Jung-Soon) 안지연(Ahn, Ji-Youn)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62권, 249~27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8.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과 시민교육을 위해 미술을 연계할 것을 제안하며 그 의의와 방법을 탐색한 연구이다. 먼저 사회과와 미술과 교육과정의 변천 탐색을 통해 두 교과는 생각의 표현과 공동체의 안녕 사이의 균형에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미술을 활용한 사회과 시민교육의 의의를 크게 사회 문제 인식으로서의 미술, 사회 문제에 대한 표현으로서의 미술, 사회 참여 행동으로서의 미술로 구분하여 각각 시민교육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들과의 정서적 거리가 지나치게 멀거나 반대로 정서적으로 과도하게 밀착된 수업 소재를 선정하여 미술을 활용한 사회과 시민교육의 방법을 탐색해 보았다. 방법의 일환으로 강대현, 설규주(2014)가 제안한 ‘정서적 공감과 동기화’, ‘인지적 판단과 성찰’, ‘행동으로의 실 천 및 반복’의 단계에 따른 수업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학생들로 하여금 사회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 행동을 내재화하기 위하여 미술 교육의 역할을 재조명해보았다는 점에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ssible connections between art and social studies to promote citizenship education. First, we explore the cross points by tracing a history of curricular of social studies and art. The results from curriculum analysis says art and social studies have a common interest in expressing individuals’ thoughts and public goods. This result presumes that social studies education can revitalize citizenship education by adopting the characteristics of art to enable people to display personal thoughts and feelings in diverse ways. Artists can portrait social situations and their feelings in their own ways. Also, audiences may get to sense what artists try to say through art works. The process of reading the artworks means more than verbal communication to some students who have weak language skill. Most students will be able to have a wide view on the social situations and begin to get interested in how to resolve the social issues. This may lead students to take an action in real world.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le relations between art and social studies in three parts: art as an acknowledgement of social issues, art as a presentation of social issues, art as social participation. In addition, we attempt to create citizenship lesson flows by applying art to social studies based on Kang and Seol(2014). The results reveal possibilities to reach the goal of citizenship that students can understand multiple dimensions of the facts through interpreting art works. In addition, students will be able to accept different values from theirs and live on making a balance with others. This study sheds lights on how art can play a role in educating students to become active citizens. Thus, social studies class in connection with art may open another door toward citizenship education in a current situation.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교육과정에 나타난 시민교육
Ⅲ. 미술을 활용한 사회과 시민교육의 의의
Ⅳ. 미술을 활용한 사회과 시민교육의 방법 탐색
Ⅴ.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아동의 미디어 기기 중독이 화용 언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집행기능 곤란의 매개효과
- 학령전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자발화 표현에서의 용언 사용
- 자폐 스펙트럼장애(ASD) 및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 화용언어와 내재화 및 외현화 행동 간의 연관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