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샌드박스 게임의 미술관 교육 활용 가능성 탐색
이용수 59
- 영문명
-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Using Sandbox Game for Art Museum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송명길(Song, Myung-Kil)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62권, 155~17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8.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미술관의 경계를 허물고 전시 경험을 지속시키는 방안으로 샌드박스 게임을 통한 접근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샌드박스 게임은 높은 자유도와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미술관 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중접속 샌드박스 게임인 동물의 숲과 마인크래프트를 활용한 미술관 교육의 가능성을 외국 미술관들의 사례를 통해 알아보았다. 샌드박스 게임은 가상 미술관 체험과 작품 재수용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를 교육에 활용한다면 성찰, 재창조, 확장의 경험을 갖게 될 것으로 보여진다. 샌드박스 게임의 특징을 살려 미술관 교육이 지향하고자 하는 바를 성취하도록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가 지향하는 바는 교육을 위한 게임을 활용을 넘어서, 게임에서의 교육적 접근을 통해 자발적인 배움이 일어나도록 하는 가능성을 조망하고자 하는 것이다.
영문 초록
As a way to break down the boundaries of the museum and sustain the exhibition experience, this study will seek access through sandbox games for art museum education. Sandbox games are highly likely to be used in museum education due to their high degree of freedom and interaction. 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possibility of education in art museums using Animal Crossing and Minecraft, a multi-connection sandbox game, through the examples of foreign art museums. Sandbox games are used in various ways, including virtual art museum experience and re-acceptance of works, and if they are used in education, they will have experience of reflection, recreations and expansion. By taking advant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sandbox games, museum education can be used to achieve what it aims to achieve. Ultimately, what this research aims to do is to look beyond the use of games for education and to see the potential for voluntary learning through educational access in games.
목차
Ⅰ. 서 론
Ⅱ. 샌드박스 게임
Ⅲ. 활용 사례 분석
Ⅳ. 활용 방안 모색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열린교육연구 제33권 제5호 목차
- 전공선택 학생과 미선택 학생의 특성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무전공 입학 대학생을 중심으로
- From Rule-Telling to Rule-Finding: Evaluating Guided Discovery Grammar Instruction in a Korean University EFL Contex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