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딜레마토론 프로그램이 의과대학생의 도덕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46
- 영문명
- Effects of dilemma discussion on the Moral Development of Medica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도덕교육학회
- 저자명
- 홍성훈(Hong Seong-Hoon)
- 간행물 정보
-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12권 제2호, 227~25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0.11.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직 윤리 (professional ethics)의 관점에서, 딜레마토론을 통해 의과대학생들의 도덕성을 신장시킬 교육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현장적용 연구를 통해 그 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인지 발달론적 도덕성 교육이론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이 이론은 자율적인 도덕적 성숙의 과정을 중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고도 수준의 도덕적 자율성을 전제로 하는 전문직 윤리·도덕성의 증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모형으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참여자들은 영상매체를 통해 제시된 의료현장의 도덕적 갈등사례를 접하고 동료들과의 활발한 딜레마 토론에 참여하였다. 효과 분석에 있어서는 Rest의 이론적 입장과 접근모형에 의거, 기존의 도덕성 개념인 도덕판단력 (인지 측면) 뿐만 아니라 도덕민감성(정서 측면)까지 포함시켰고, 행동적 측면에서는 도덕적 행동선택을 추가하였다. 분석 결과, 본 프로그램은 의과대학생들의 도덕 판단력과 도덕적 행동선택을 변화시키는 데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도덕 민감성의 경우에는 뚜렷한 변화가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국내에서도 전문직 도덕성 분야의 연구 및 교육이 한층 더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current medical practices in Korea have many new ethical problems, including the issues in bioethics like internal organ transplant, abortion, and external fertilization. The current moral education in medical colleges, however, can hardly cope with the rapid changes in medical practices. Many people in medicine, therefore, become much more concerned in the importance of moral education for medical students, but teaching methods or educational programs for it have not yet be developed.
At the first step of this study, I developed a medical ethics program based upon the cognitive developmental theory of Kohlberg and Rest. The major task in developing the program was to search of moral dilemmas which have frequently occurred in medical practice. As a result, 10 typical dilemmas were found, converted into scripts for dramas, and then videotaped. In addition, we created several teaching materials including 90 minute discussing module.
At the second step of the study, the program was put into practice during one semester in College of Medicin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program consists of 10 sessions. In every session, students were asked to watch one videotaped drama (10 minutes) and discuss in small group during 60 minutes.
The final task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ogram. According to Rest s theoretical framework, the effect of the program was analyzed in two aspects of morality moral judgment and moral sensivity. Moral judgment is tested by DIT and moral sensivity by MEST(Medical Ethics Sensitivity Test) which was made in this stud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
1. This program is effective in enhancing medical students moral reasoning ability.
2.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on medical students moral sensitivity is not prov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토론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시
Ⅳ. 효과분석 결과
Ⅴ.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
Ⅵ.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