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오우크쇼트의 政治敎育論

이용수  85

영문명
M. Oakeshott s Thoughts on Political Education : Relationship to Neo - Confucianistic Theory
발행기관
한국도덕교육학회
저자명
차미란(Cha Mi-Ran)
간행물 정보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12권 제2호, 101~140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0.11.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우크쇼트의 정치교육론은 정치와 교육에 관한 이른바 합리주의적 관점에 대한 대안적 견해를 제시한다는 데에 그 두드러진 특징이 있다. 오우크쇼트가 말하는 背文의 追求 로서의 정치에서 정치활동의 원천과 기준은 정치 이념에 있는 것이 아니라 정치 습관이나 전통에 있으며, 이런 뜻에서의 정치는 이데올로기의 훈련이 아닌 행위전통에의 입문으로서의 정치교육을 훌륭하게 받은 사람에 의해서만 올바르게 수행될 수 있다. 행위전통에의 입문, 즉 행위전통에 관한 지식의 획득 과정은 그 초기 단계에서는 전통적 행위방식의 습득 ( 社會化 )이라는 형태로 이루어지지만, 그것은 행위전통 이면의 背文에 대한 탐색 ( 敎科敎育 )으로 연결되지 않으면 안 된다. 정치교육의 성격과 목적에 관한 오우크쇼트의 견해는 교육을 기준으로 하여 교육과 정치의 관련을 설명한다는 점에서, 플라톤의 哲學者-君主 의 아이디어, 修己와 治人의 관계에 관한 성리학의 입장과 일관된다. 특히 성리학의 교육이론은 교육과 정치의 의미, 그리고 그 양자 사이의 관련은 사실의 세계 또는 경험적 마음의 위층 에 그것의 기준이 되는 논리의 세계 또는 형이상학적 마음이 있다는 것을 인정할 때에 비로소 올바르게 파악된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 이 점에서 정치교육론으로 대표되는 오우크쇼트의 교육이론은 마음의 구조와 형성에 관한 성리학의 이론에 비추어 면밀히 해석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목차

1. 序論
2. 政治의 意味: 經驗的-이데올로기的 接近 과 實際的-總體的 接近
3. 政治敎育의 두 樣相: 敎科敎育과 社會化
4. 性理學 理論과의 關聯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차미란(Cha Mi-Ran). (2000).오우크쇼트의 政治敎育論. 도덕교육연구, 12 (2), 101-140

MLA

차미란(Cha Mi-Ran). "오우크쇼트의 政治敎育論." 도덕교육연구, 12.2(2000): 101-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