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의사소통 훈련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및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688
- 영문명
- Effects of Communication training Group Counseling on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 skills and Self-Esteem
- 발행기관
- 한국교정상담심리학회
- 저자명
- 김말선(Kim Mal Seon)
- 간행물 정보
- 『교정상담학연구』제1권 제1호, 79~10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소통 훈련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및 자아존중감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D 대학 학생 중에서 학생상담센터 주최로 공고된 `의사소통 훈련 집단상담`이라는 공고를 통해 자발적으로 참가를 희망하는 대학생 22명을 선정하고 이를 실험집단 11명, 통제집단 11명으로 무선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게 의사소통 훈련 집단상담을 적용하였으며, 한 회기에 소요시간 120분씩, 10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의사소통 훈련 집단상담을 실시하기 전·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대해 대인관계능력검사와 자아존중감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인관계에 관한 사전·사후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한 후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의사소통 훈련 집단상담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는 전반적인 대인관계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의사소통 훈련 집단상담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는 전반적인 자아존중감의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하위 영역별 결과에서 가정적 자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아 의사소통훈련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구성 또는 진행과정에서 가정적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활동의 구성과 효율적인 진행방안이 요구된다. 이상의 연구실험 결과로 보아 의사소통 훈련 집단상담은 대학생의 대인관계 능력 및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은 대학생들의 대인관계 능력과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켜 자신감 향상을 통한 대학생활 적응과 타인과의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의사소통 훈련이 필요한 집단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 적용한 프로그램을 재구성하여 대학생 뿐 아니라 성인 및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효과를 검증해 보는 것도 의의 있는 일이라 여겨진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Communication training Group Counseling on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 skills and self-esteem.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surveyed 22 college students of D university located in Busan. Those student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Communication training Group Counseling for Interpersonal Relation Improvement` which was publicly noticed and hosted by Student Counseling Center. They were randomly allocated 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each of which consisted of 11 members. Measurement devices used to verify hypotheses made here were Interpersonal Relation Skills Test and Self-Esteem Test. After these tests, the group counseling was applied over 10 sessions, with 1 session a week and 120 minutes per session based. To verify effects of the group counseling on those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 skills and self-esteem, further, mean and standard deviation values were calculated with scores from pre- and post-tests in accordance with hypotheses proposed here. Then, t-tes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of mean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of the study can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group who participated in Communication training Group Counselin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core for interpersonal relation skills than the other group who didn`t. Thus the group counsel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college students` skills of interpersonal relations. Second, the group who participated in Communication training Group Counselin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core for self-esteem than the other group who didn`t. Thus the group counsel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college students` skills of self -estee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ome-related skills as one of the sub-areas of self-esteem between the group who participated in Communication training Group Counseling and the other group who didn`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