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제탄력성척도 요인분석 및 타당화 검증

이용수  94

영문명
Factor Analysis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International Resilience Checklist for Resilience
발행기관
한국교정상담심리학회
저자명
정소희(Jeong Sohee)
간행물 정보
『교정상담학연구』제1권 제1호, 32~52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제탄력성 체크리스트의 요인구조를 파악하고 한국 아동들에게도 타당한지를 파악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2009년 12월 1일부터 12월 24일까지 설문을 실시하였고 최종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 수성구, 남구, 서구 소재의 초등학교 3개교와 경상북도 소재의 초등학교 2개교의 4-6학년 남녀 아동 총 551명이었다. 이 척도의 요인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2개의 하위요인(자신과 미래에 대한 믿음, 사회적 기술)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 척도가 자료에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나 구성타당도가 확인되었다. 또한 표준화 요인계수가 모두 적절하게 나타나 각각의 문항이 이 두 가지 하위요인을 잘 반영하고 있으며 잠재변수의 적절한 지표(indicator)임이 확인되었다. 수렴타당도 및 판별타당도를 파악하기 위해 학교적응 및 공격성 척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교적응 척도와는 .79정도의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공격성과는 -.20정도의 매우 낮은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수렴타당도 및 판별타당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국제탄력성척도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한국 아동들의 탄력성 측정도구로 활용되기에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 structure and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International Resilience Project checklist for resilience. The subjects comprised 551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in Daegu and its suburb areas in Korea(284 boys and 267 girls, from the 4th graders to the 6th graders). International Resilience Project checklist for resilience(Grotberg, 1997) was used to measure the degree to which children are resilient despite the adversity. This scale is composed of 15 items and was originally developed 3-point Likert scale ranging from 1(no resilience) to 3(a response of resilience). Seven iterations of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on data to identify items for inclusion in the Korean version of International Resilience Project checklist for resilience. In the 7th analysis, an oblimin rotated factor analysis of the 15 items resulted in a two-factor solution, with 15 of the items loading well(factor loadings≥30).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then conducted on the sample to validate the factor structure with two factors. The resilienc scores demonstrated expected positive correlation with School adjustment(r=.79)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aggression(r=.-20). The Korean version of International Resilience Project checklist for resilience has been shown to be a reliable and valid measurement in assessing resilience among Korean childre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소희(Jeong Sohee). (2016).국제탄력성척도 요인분석 및 타당화 검증. 교정상담학연구, 1 (1), 32-52

MLA

정소희(Jeong Sohee). "국제탄력성척도 요인분석 및 타당화 검증." 교정상담학연구, 1.1(2016): 32-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