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 밖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문제와 상담방안
이용수 369
- 영문명
- The Effect of the School Dropout Adolescent`s Ego-Resilience, Confidency, Optimism and Alienation to Suggest the Proper Counseling Method
- 발행기관
- 한국교정상담심리학회
- 저자명
- 문용선(Moon Yong-sun) 이운형(Un-hung Lee)
- 간행물 정보
- 『교정상담학연구』제1권 제1호, 57~7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밖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심리적 문제인 자신감, 낙관성, 소외감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 그에 적합한 상담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교 밖 청소년 40명과 일반고등학교 학생 51명에게 자아탄력성, 자신감, 낙관성, 소외감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통계적으로 각 요인들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 그러나 두 집단의 평균의 차이를 살펴보면, 일반고등학교 학생들보다 학교 밖 청소년들이 자신감, 낙관성, 소외감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학교 밖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요인들은 자아탄력성에 의미가 없음이 나타났고 대신 자신감과 낙관성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사)한국청소년이라는 대안학교가 학교 밖 청소년들에게 삶의 의미를 제공해주고 있기에 유사한 연구결과가 나타났다. (사)한국청소년행복나눔의 대안학교는 헌신적인 교사가 존재하고 또한 청소년들의 심리적인 문제들을 이해하고 그에 적합한 집단상담프로그램을 운영하므로 학교 밖 청소년들이 행복하게 삶을 살아가고 있다. 그리고 소외감의 점수를 일반고등학교 학생들과 비교를 해보면 소외감의 점수가 학교 밖 청소년에게 조금 높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학교 밖 청소년들은 학업을 중단하기 전 학교에서 학업의 부적응과 비행으로 인하여 특별교육을 받은 경험이 90% 이상이 되는 청소년으로서 부모와 교사, 또래에게 문제아라는 낙인이 받았다. 그런 이유로 소외감의 점수가 일반고등학교 학생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들에게 나타난 높은 소외감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개인상담보다 학교 밖 청소년에 적합한 집단상담프로그램으로 통하여 서로 인정하고 격려하고 자신의 문제를 표출하므로 소외감이 낮아질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school dropout adolescent`s ego-resilience, confidency, optimism and alienation and to suggest the proper counseling method. In order to fulfill the purpose of the study, 40 students who dropped out of the school and 51 high school student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so as to measure their ego-resilience, confidency, optimism and alien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Looking in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high school students` confidency, optimism and alienation were higher than the school dropout adolescents`. In order to verify the factor which affects the school dropout adolescent`s ego resilienc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which does not approve any meaningful difference. Instead, confidency and optimism were showed positive relationships. It is found that the school dropout adolescents have unreality optimism. This factor interrupted their study and led them to drop out of their school. It means that they easily give up when they face hardships rather than overcome them. When it comes to the alienation of two groups, the school dropout students` alienation was higher than the high school students. Almost 90 % of the school dropout students had special education because of maladjustment and delinquency in school and they were labeled as a troublemaker. That`s why their alienation level was higher than the other group. In order to change their unreality, optimism, confidency and alienation positively, it is effective to develop proper group counseling program rather than individual counseling.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논의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