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의 성역할 유형과 실과교과 흥미도와의 관계
이용수 2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x Role Types and the Interests toward Practical Ar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미경(Chung, Mee-Kyung)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12권 제2호, 95~10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0.08.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x role types and the interests toward contents in practical ar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questions about the types of sex role and interests toward contents in practical arts. Contents in practical arts subject were home economics, agriculture. technology, computer. The respondents were 123 sixth grade boys and 122 girls from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Taegu, 245 questionnaires were used far data analysis. Frequency, percent, x2-test. Average, standard deviation, F-test, and Duncan s multiple range test were follow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Generally speaking, androgynous and undifferentiated sex role type are more frequent than masculine and feminine type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2.Androgynous sex role type students were higher than undifferentiated and masculine sex role types in scores of the interest toward home economics in practical arts subject.
3.Androgynous, masculine, and feminine sex role type students were higher than undifferentiated sex role types in scores of the interest toward agriculture in Practical arts subject,
4.Masculine sex role type students were higher than androgynous types. and undifferentiated and feminine sex role types were lower than androgynous in scores of the interest toward technology in Practical arts subject.
5.Androgynous and masculine sex role type students were higher than feminine and undifferentiated sex role types in scores of the interest toward computer in practical arts subject.
목차
Ⅰ.서론
Ⅱ.이론적 배경
Ⅲ.연구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공지능 시대, 민주시민에서 생태시민으로: ‘다름’의 관계적 의미와 생태전환교육의 함의
- 초등영어학습자의 글로벌 리터러시 기반 글로벌 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예비교사의 수업 설계·구현 방안
- 대학 담임제도가 교원 이직에 미치는 영향: 중국 산시성(山西省)의 G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