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부모 의복행동에 대한 청소년의 지각이 조부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the Adolescent s Perception of Grandparent s Clothing Behavior on their Attitude toward the Grandparent
- 발행기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영숙(Yi, Yeong-Sug) 김용숙(Kim, Yong-Sook)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12권 제2호, 1~1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0.08.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adolescent s perception to grandparent s clothing behavior, the effects of grandparent s clothing behavior on the attitudes toward their grand Parents, and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adolescent s attitudes toward their grandparent affecting grandparent s clothing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vide the foundations for the continuing family educational material to Promote the grandparent-grandchildren relationship .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Chonbuk Province through school teachers from June 9th to 18th, 1999, and 485 Questionnaires were analysed. Frequencies, percentages, factor analysis, Cronbach s α, t-test, F-test, and Duncan s Multiple Range test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The adolescent s Perception level of grandparent s clothing behavior was higher when grandparents were younker, healthier, and wealthier, in separate living status, and in case of younger and more female adolescents. In case of separate living status, the adolescent s Perception level was higher when grandparent and adolescent contacted frequently .
2.The adolescent s perception level of grandparent s clothing behavior was favorable when their total attitude toward grandparent was positive, especially in economic, intellectual, personality, and family relation aspects.
3.The effects of the perception of grandparent s clothing behavior on the adolescent attitude toward their grandparent were higher in case of grandmother, female adolescent, and separate living status, less educated, and in worse health status grandparent.
목차
Ⅰ.연구의 필요성
Ⅱ.이론적 배경
Ⅲ.연구방법
Ⅳ.결과 및 해석
Ⅴ.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공지능 시대, 민주시민에서 생태시민으로: ‘다름’의 관계적 의미와 생태전환교육의 함의
- 초등영어학습자의 글로벌 리터러시 기반 글로벌 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예비교사의 수업 설계·구현 방안
- 대학 담임제도가 교원 이직에 미치는 영향: 중국 산시성(山西省)의 G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