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독일의 실천철학교과 분석을 통한 가정과 교육에서의 논술교육 연구
이용수 65
- 영문명
- The study of Essay Writing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Through Practical Philosophy Curriculum Analysis in Germany
- 발행기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은정(Kim Eun-Jeung)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19권 제4호, 233~24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가정과교육에서 교육의 과정을 통해 학습자 스스로 지식의 흐름을 인식하고 표현할 수 있는 논술교육에 적합한 방법이 무엇인지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지금까지의 교육이 교사는 가르치고 학생들은 배우는 일방적인 형태였다면 앞으로의 교육은 함께 생각하고 탐구하는 상호적이고 쌍방향적인 과제가 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새로운 교육과정의 구성뿐만이 아니라 그에 적합한 다양한 교육방법을 요구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논술교육을 독일의 실천철학이라는 교과의 교육과정을 참고로 가정과교육에 적용해보았다. 이 교과의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실천적이고 비판적인 사고 능력 신장을 도모하고 있으며, 그 중심에 논술교육이 자리 잡고 있다. 이 교과는 개인적 관점, 사회적 관점, 이념사적 관점의 3가지 관점을 토대로 학습자들이 경험할 수 있는 7가지 물음 영역을 통해 질문을 주고 대답하는 방식으로 논술을 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개인적 관점에 머무르지 않고 그 배경에 있는 이념사적 관점에 대한 통찰을 통해 개인의 삶의 변화는 물론이고 나아가 사회, 문화의 변화를 주도할 수 있는 지성인으로 양성되는 것이다.
독일의 이 교과는 실천철학에 입각하여 실천적 추론에 따른 교육과정을 모색하고 있는 가정과교육에서 논술교육을 도입할 수 있는 하나의 가능성을 시사해 주고 있다. 즉 가정과교육은 삶의 다양한 상황을 폐쇄적인 사고 즉 단답형의 사고가 아니라 다각적인 시각으로 접근하여 지혜롭게 대처하며 해법을 도출해내는 능력을 키워줄 수 있는 교과이기 때문에 학습자들의 지성계발을 그 목적으로 하는 논술교육과 맥을 같이 한다. 따라서 가정과교육을 통해 다양한 영역에서 지식의 흐름을 읽어낼 수 있는 실천으로의 논술교육을 병행하여 실시함으로 학습자들의 지적 만족감을 충족시킴으로써 학생들의 역동적인 수업 참여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하나의 교육방법에만 머무르지 않고 교육방법을 다양화하기 위한 노력을 통해 가정과교육의 영역은 더욱 넓어질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 way of essay writing education which helps the learners perceive and express a stream of knowledge through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by themselves. While one-way type, which teachers just give instructions to students and students just learn from them, has dominated the education, new education focuses on interactive and reciprocal way in thinking and researching together. This new stream requires appropriate and various education method as well as the new concept of education curriculum.
This study applies the curriculum of the German practical philosophy that recently has been a debated topic in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purpose of the curriculum pursuits improving students practical and critical thinking competence and essay writing is the center of it. In the curriculum learners write essays by asking and answering the questions through seven areas which students can experience based on three angles such as individual, social, and idealogical viewpoints. In this process learners don t remain in the individual angles and are able to be trained as intellectuals who can lead the social and cultural change as well as the individual growth by getting an insight into the idealogical angles.
The Germany curriculum what is mentioned in advance presents one possibility that essay education can be introduced in Home Economics education that has accessed the education process by the practical inference based on the practical philosophy. That is, Home Economics education shares the context with essay education whose purpose is the intellect enlightenment because the former is the curriculum to make students build the abilities to access in many-sided angles not just one point, to deal with problems wisely, and to deduce the solutions.
Therefore, students are expected to participate in the class dynamically by being satisfied intellectually abreast of practical essay education that helps learners read the stream of knowledge through Home Economics education. In this manner the category of Home Economics education will enlarge by making efforts to diversify the education methodology not staying only one metho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가정과교육에서의 논술교육
Ⅳ.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모의 외모관련 양육유형과 대학생 자녀의 자기존중감에 따른 외모만족도
- 중학교 가정과 교사의 교육과정 관점과 주거교육 가치관
- 중 · 고등학교 기술 · 가정 교과서 조리실습 단원에 게재된 일품요리의 영양 적정성 평가
- 가정과 교육에서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이 중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 학습자 입장에서의 사이버 강의 만족에 관한 연구 : 대학에서 소비자교육 분야의 강의 사례를 중심으로
- 우리나라 가정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과의 비교고찰
- 건강 신념 모델에 근거한 초 · 중 · 고등학교 우유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중학교 기술 · 가정 교과의 주생활 영역 교과내용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필요성 및 요구도 -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 1950년대 여학교 교육을 통해 본 현모양처’론의 특징
- 온라인 게임의 혜택요소에 대한 소비자들의 주관적 평가 - Q 방법론의 적용 -
- 기혼 여교사의 심리적 복지수준 연구
- 경기 일부 지역 중학생의 『기술 · 가정』교과의 식생활 영역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 중등 가정과 1급 정교사 자격 연수 프로그램운영 실태 분석 및 연수 참여자의 인식
- 독일의 실천철학교과 분석을 통한 가정과 교육에서의 논술교육 연구
- 가족건강성과 부모의 학업기대유형에 따른 청소년 학습동기의 차이
- 주체별 소비자교육이 중학생 소비자의 용돈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8호
- 유아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반영한 리빙랩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유아발달 및 놀이성과 공동체 의식, 사회적 유능감, 친사회성을 중심으로
- Effects of pre-briefing on self-efficacy, simulation immersion, communication ability, simulation satisfaction, and teamwork in advanced life support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