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주체별 소비자교육이 중학생 소비자의 용돈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64
- 영문명
- The Effect of Subject-Classified Consumer Education on Allowance Managing Behavior of Middle School Consumer
- 발행기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 저자명
- 권경자(Kweon Gyeong-Ja) 장상옥(Jang Sang-Ock)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19권 제4호, 153~17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경남지역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주체별 소비자교육과 중학생들의 용돈관리 행동에 대해 살펴보고 앞으로 이들이 희망하는 소비자교육의 내용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학생의 주체별 소비자교육의 인식은 가정소비자교육이 가장 높았고 이어서 학교, 대중매체에서의 소비자교육의 순이었다. 둘째, 중학생의 용돈관리 행동은 실행능력에 비하여 계획능력과 평가능력은 매우 낮으므로 교육과정에서는 실천적인 용돈관리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할 것이며,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교육 내용에 포함되어야겠다. 셋째, 학교소비자교육과 대중매체를 통한 소비자교육 정도가 향상될수록 용돈관리 행동이 향상되었다. 용돈관리 계획능력과 실행능력은 학교소비자교육과 대중매체의 소비자교육 정도가 향상될수록 높아졌고, 평가능력은 가정소비자교육 및 학교에서의 소비자교육과 대중매체를 통한 소비자교육 정도가 향상될수록 높아졌다. 중학생의 용돈관리 행동은 가정, 학교, 대중매체의 소비자교육이 영향을 미치므로 교육주체의 연계성을 통하여 중학생의 용돈 및 금전관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중학생들이 희망하는 소비자교육 내용은 가정에서는 근검 · 절약, 저축의 종류 및 방법, 합리적인 소비생활, 용돈기록장 작성과 관리 등의 실천이 가능하면서 비전문적인 내용이었으나, 학교에서는 소비자권리와 의무, 소비자피해보상 · 절차 · 방법, 합리적인 소비생활, 소비자 관련법규의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 내용이었다. 대중매체에서는 펀드 및 주식투자방법, 인터넷 이용 구매방법, 소비자교육, 소비자피해보상 · 절차 · 방법으로 교육주체별로 희망하는 교육내용에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소비자교육은 학교 교육에서 주도적으로 실행하되, 주체별 선호하는 교육내용이 적절히 연계될 수 있도록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iddle school students allowance managing behaviors and consumer education by the educational subject in order to explore a desirable direction of consumer education for allowance management.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468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nam.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recognition of consumer education, the consumer education from home was the highest, and then the from school and mass media followed in that order. Second, the average score of the students allowance managing behavior was low. The fulfillment ability wa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planning and evaluative ability. Third, as for overall allowance managing behaviors, the more promoted a students level of consumer education from school and mass media, the more cultivated his/her allowance managing behaviors. As for allowance managing behaviors in accordance with sub-factors, students planning and fulfillment abilities were more cultivated, the more promoted his/her level of consumer education from school and mass media. Students evaluative ability was more cultivated, the more promoted his/her level of consumer education from school and mass media. Fourth, there were differences in educational contents the students wanted in accordance with the educational subjects of consumer education. The consumer education can be more practical when it is connected with home, school, and mass media,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rogram with such connection is necessar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모의 외모관련 양육유형과 대학생 자녀의 자기존중감에 따른 외모만족도
- 중학교 가정과 교사의 교육과정 관점과 주거교육 가치관
- 중 · 고등학교 기술 · 가정 교과서 조리실습 단원에 게재된 일품요리의 영양 적정성 평가
- 가정과 교육에서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이 중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 학습자 입장에서의 사이버 강의 만족에 관한 연구 : 대학에서 소비자교육 분야의 강의 사례를 중심으로
- 우리나라 가정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과의 비교고찰
- 건강 신념 모델에 근거한 초 · 중 · 고등학교 우유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중학교 기술 · 가정 교과의 주생활 영역 교과내용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필요성 및 요구도 -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 1950년대 여학교 교육을 통해 본 현모양처’론의 특징
- 온라인 게임의 혜택요소에 대한 소비자들의 주관적 평가 - Q 방법론의 적용 -
- 기혼 여교사의 심리적 복지수준 연구
- 경기 일부 지역 중학생의 『기술 · 가정』교과의 식생활 영역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 중등 가정과 1급 정교사 자격 연수 프로그램운영 실태 분석 및 연수 참여자의 인식
- 독일의 실천철학교과 분석을 통한 가정과 교육에서의 논술교육 연구
- 가족건강성과 부모의 학업기대유형에 따른 청소년 학습동기의 차이
- 주체별 소비자교육이 중학생 소비자의 용돈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8호
- 유아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반영한 리빙랩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유아발달 및 놀이성과 공동체 의식, 사회적 유능감, 친사회성을 중심으로
- Effects of pre-briefing on self-efficacy, simulation immersion, communication ability, simulation satisfaction, and teamwork in advanced life support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