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혼 여교사의 심리적 복지수준 연구
이용수 16
- 영문명
- A Study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Married Female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혜영(Jeong Hye-Young) 오윤자(Oh Yoon-Ja)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19권 제4호, 187~19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직이 점차 여성화됨에 따라 기혼 여교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요구되는 반면 여교사 자신의 심리적 복지 수준에 관한 정보는 지극히 부족한 실정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 여교사를 개인 및 전문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심리적 복지 수준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하여 기혼 여교사의 심리적 복지 수준은 어느 정도이며 기혼 여교사의 심리적 복지 정도는 배경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심리적 복지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변인은 무엇인지를 살펴 보았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 소재 초등학교 재직중인 기혼여교사 37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결과 요약은 다음과 같다. 1) 기혼여교사의 심리적 복지 수준 경향은 전체영역은 3.32(5점 척도)로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하위영역인 생활만족도는 3.82로 높게, 우울은 2.64로서 낮게 나타났다. 2) 기혼여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심리적 복지 수준의 차이에 있어서 결혼상태, 주관적 생활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3) 기혼여교사의 심리적 복지 수준에 대한 배경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은 주관적 생활수준, 가족관계 ? 심리정서적 건강성, 주관적 행복도로 나타났으며 생활만족도에 대하여 더 큰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혼여교사의 심리적 복지수준은 보통수준 이상으로 나타나 비교적 심리적으로 건강한 상태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심리적 복지수준이 높은 교사가 건강한 청소년교육 및 지도로 연결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여 교사연수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arried female teachers working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and Seoul.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SPSS 12.0 including frequencies, one-way ANOVA, Duncan-test.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yscored average 3.23 on a five-point scale of psychological well-being, which meant they were positive about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with the background variables considered, marital status and subjective standard of life resulted in significant differences. Those who answered their subjective standard of life were high scored the highest point on the scale. Third, with the background variables considered, age, subjective standard of life and happiness, family relation and psychlogical health were shown to affec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모의 외모관련 양육유형과 대학생 자녀의 자기존중감에 따른 외모만족도
- 중학교 가정과 교사의 교육과정 관점과 주거교육 가치관
- 중 · 고등학교 기술 · 가정 교과서 조리실습 단원에 게재된 일품요리의 영양 적정성 평가
- 가정과 교육에서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이 중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 학습자 입장에서의 사이버 강의 만족에 관한 연구 : 대학에서 소비자교육 분야의 강의 사례를 중심으로
- 우리나라 가정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과의 비교고찰
- 건강 신념 모델에 근거한 초 · 중 · 고등학교 우유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중학교 기술 · 가정 교과의 주생활 영역 교과내용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필요성 및 요구도 -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 1950년대 여학교 교육을 통해 본 현모양처’론의 특징
- 온라인 게임의 혜택요소에 대한 소비자들의 주관적 평가 - Q 방법론의 적용 -
- 기혼 여교사의 심리적 복지수준 연구
- 경기 일부 지역 중학생의 『기술 · 가정』교과의 식생활 영역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 중등 가정과 1급 정교사 자격 연수 프로그램운영 실태 분석 및 연수 참여자의 인식
- 독일의 실천철학교과 분석을 통한 가정과 교육에서의 논술교육 연구
- 가족건강성과 부모의 학업기대유형에 따른 청소년 학습동기의 차이
- 주체별 소비자교육이 중학생 소비자의 용돈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8호
- 유아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반영한 리빙랩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유아발달 및 놀이성과 공동체 의식, 사회적 유능감, 친사회성을 중심으로
- Effects of pre-briefing on self-efficacy, simulation immersion, communication ability, simulation satisfaction, and teamwork in advanced life support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