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정과 교육에서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이 중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24
- 영문명
- The Effect of School Library-Assisted Instruction on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in Home Economics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효순(Lee Hyo-Soon) 유태명(Yoo Tae-Myung)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19권 제4호, 201~2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가정과 교육에서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이 중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으며,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은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둘째,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을 받은 집단 내에서 성적에 따라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에는 어떤 변화가 있는가? 셋째, 교육방법에 따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는 어떤 변화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J시에 소재한 중학교 3학년 여학생 164명(실험반 82명, 비교반 82명)을 대상으로 도서관 활용수업과 일반 강의식 수업을 14시간 실시하였다. 교육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검사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한 후 SPSS 12.0을 이용하여 자료처리를 하였다. 분석방법은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카이제곱 검증, 독립표본 t-검증, 대응표본 t-검증, 반복측정분산분석, 이원변량분석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을 받은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에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실험반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모든 하위 항목에서 사전보다 사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실험반의 점수 향상이 훨씬 많았다. 비교반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하위 항목 중 창의성과 자율성에서 사전보다 사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을 받은 집단 내에서 학업 성적에 따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변화는 문제해결능력을 제외한 모든 하위 항목들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해결능력은 학업 성적에 따라 점수의 상승폭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업 성적이 낮은 집단에서 상승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도서관활용수업을 받은 집단이 일반 강의식 수업을 받은 집단보다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점수의 상승폭이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능력 점수가 낮은 집단이 학습능력 점수가 높은 집단에 비하여 점수의 상승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하여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은 중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으며, 학업성적이 낮고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점수가 낮은 집단에서 더 큰 상승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후속 연구로는 본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여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중 구체적으로 어떤 점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시켰는지 다양한 실험설계를 통하여 조사할 것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quasi-experimental study to find out the effect of school library-assisted instruction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Home Economics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14 hours of school library-assisted instruction and traditional lecture were carried out to 164 9th grade female students(82 of experimental group, 82 of comparison group) of a girls middle school in Jinju, Gyeongnam. To verify the instructional effect, a pre-test and a post-test fo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ere carried out. SPSS 12.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For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x2-test, t-test, repeated measures-ANOVA, and bivariate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i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all the subordinate items. Second, the change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y grade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no interactional effect in all the sub-items except problem solving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rate of grade rising in accordance with academic achievement level and a higher synergy effect was shown in the low academic achievement group.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higher rate of rising i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an the comparison group, and the low academic achievement group showed a higher rising rate of grade than the high academic achievement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 concluded that the school library-assisted instruction was effective in enhancing middle schoo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especially for the low academic achievement group.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모의 외모관련 양육유형과 대학생 자녀의 자기존중감에 따른 외모만족도
- 중학교 가정과 교사의 교육과정 관점과 주거교육 가치관
- 중 · 고등학교 기술 · 가정 교과서 조리실습 단원에 게재된 일품요리의 영양 적정성 평가
- 가정과 교육에서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이 중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 학습자 입장에서의 사이버 강의 만족에 관한 연구 : 대학에서 소비자교육 분야의 강의 사례를 중심으로
- 우리나라 가정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실천적 문제 중심 교육과정과의 비교고찰
- 건강 신념 모델에 근거한 초 · 중 · 고등학교 우유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중학교 기술 · 가정 교과의 주생활 영역 교과내용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필요성 및 요구도 -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 1950년대 여학교 교육을 통해 본 현모양처’론의 특징
- 온라인 게임의 혜택요소에 대한 소비자들의 주관적 평가 - Q 방법론의 적용 -
- 기혼 여교사의 심리적 복지수준 연구
- 경기 일부 지역 중학생의 『기술 · 가정』교과의 식생활 영역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 중등 가정과 1급 정교사 자격 연수 프로그램운영 실태 분석 및 연수 참여자의 인식
- 독일의 실천철학교과 분석을 통한 가정과 교육에서의 논술교육 연구
- 가족건강성과 부모의 학업기대유형에 따른 청소년 학습동기의 차이
- 주체별 소비자교육이 중학생 소비자의 용돈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8호
- 유아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반영한 리빙랩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유아발달 및 놀이성과 공동체 의식, 사회적 유능감, 친사회성을 중심으로
- Effects of pre-briefing on self-efficacy, simulation immersion, communication ability, simulation satisfaction, and teamwork in advanced life support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