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억 지연 유무 및 서열위치 효과에 따른 주관적 기억장애 노인의 이야기 다시 말하기 수행력
이용수 119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Time Delay and Serial Position on Story Retelling Abilities in the Elderly with Subjective Memory Impairments
- 발행기관
-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 저자명
- 김주현(JuHyeon Kim) 김정완(JungWan Kim)
- 간행물 정보
-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제15권 제4호, 333~34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0.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As the conversion rate of degenerative dementia in the elderly with subjective memory impairments (SMI) has been reported to be high, the attempts to examine their cognitive-linguistic abilities and compare with normal elderly (NE) have drawn attention. This study has executed the story retelling task, frequently used as a subcategory of memory test, to NE and elderly with SMI, and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erformance according to time delay and serial position. Methods: The stories composed of a total of 18 information units (IU) were told to a total of 80 elderly (NE = 40, SMI = 40), and immediate and delayed recall was conducted. Results: The IU recall rate (%) of SMI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E (F = 116.482, p < 0.001), and the IU recall rate (%) was significantly lower for delayed recall than for immediate recall (F = 9.460, p < 0.01), and the intermediate position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IU recall rate (%) compared to the primacy position (F = 4.138, p < 0.05). Conclusion: SMI, unlike NE, showed difficulty in using rehearsal strategy or storing new information, which indicates that some parts of the meta-cognitive function can have negative influences in SMI stages as well.
목차
INTRODUCTION
MATERIALS AND METHODS
RESULTS
DISCUSSION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성유발반응과 행동검사를 이용한 단기 청능훈련의 학습전이 및 유지 효과에 관한 연구
- 환경 소음으로부터 지혜로운 대처를 위한 소음 지도 작성의 필요성
- 초등 3~4학년 다문화가정 아동의 원인-결과와 비교-대조 설명담화 다시 말하기에 나타난 언어학적 비유창성 특성
- 음향반사역치의 주파수 특이성을 고려한 정상역치의 규준
- 기억 지연 유무 및 서열위치 효과에 따른 주관적 기억장애 노인의 이야기 다시 말하기 수행력
- 대중매체 경험에 따른 대학생의 말더듬에 대한 인식
- 지적장애 학생의 높임법 이해 및 표현에 관한 연구
- 한국어 이명주요기능설문지의 검사 - 재검사 신뢰도 검증 및 간소화 버전 제안
- 청능훈련이 보청기 착용 아동의 어음인지에 미치는 효과
- 난청 노년층의 단어 유창성에 나타난 군집과 전환 특성
- 최신 보청기 적합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보안 실태 연구
- 정상 성인 여성 화자와 기능적 음성장애 성인 여성 화자의 문단 낭독 시 공기역학적 특성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