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향반사역치의 주파수 특이성을 고려한 정상역치의 규준
이용수 10
- 영문명
- Normative Data for Frequency Specificity of Acoustic Reflex Thresholds
- 발행기관
-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 저자명
- 유성화(Sunghwa You) 김세아(Saea Kim) 한우재(Woojae Han)
- 간행물 정보
-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제15권 제4호, 258~264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0.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Although acoustic reflex thresholds (ART) have widely used to screen and diagnose auditory lesions, they are confined only for measurements in low probe tone. The present study provides normative adults data based on various frequencies of both probe tone and stimuli, and thus extends to discuss any possible clinical application as frequency specificity. Methods: A total of 104 young listeners with normal hearing (53 female and 51 male) participated. After completing hearing screening tests, they performed the ART measurement in twelve conditions consisted of 3 probe tones (e.g., 226, 678, 1,000 Hz) and 4 stimulus frequencies (e.g., 500, 1,000, 2,000, 4,000 Hz). Individual’s thresholds were obtained at each condition and were statistically compared. Results: All data were recorded within the normal range proposed in the classic ART measurement. Interestingly, thresholds conducted at the probe tone of 678 Hz we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probe tones regardless of a kind of the stimulus frequencies. Also, all probe tones had the highest ART at 4,000 Hz. Conclusion: We obtained the differentiated ART normalize data depending on frequency specificity. In the following study, patients with various pathologies should be applied using same probe tones and their data could be compared in terms of sensitivity and specificity.
목차
INTRODUCTION
MATERIALS AND METHODS
RESULTS
DISCUSSION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성유발반응과 행동검사를 이용한 단기 청능훈련의 학습전이 및 유지 효과에 관한 연구
- 환경 소음으로부터 지혜로운 대처를 위한 소음 지도 작성의 필요성
- 초등 3~4학년 다문화가정 아동의 원인-결과와 비교-대조 설명담화 다시 말하기에 나타난 언어학적 비유창성 특성
- 음향반사역치의 주파수 특이성을 고려한 정상역치의 규준
- 기억 지연 유무 및 서열위치 효과에 따른 주관적 기억장애 노인의 이야기 다시 말하기 수행력
- 대중매체 경험에 따른 대학생의 말더듬에 대한 인식
- 지적장애 학생의 높임법 이해 및 표현에 관한 연구
- 한국어 이명주요기능설문지의 검사 - 재검사 신뢰도 검증 및 간소화 버전 제안
- 청능훈련이 보청기 착용 아동의 어음인지에 미치는 효과
- 난청 노년층의 단어 유창성에 나타난 군집과 전환 특성
- 최신 보청기 적합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보안 실태 연구
- 정상 성인 여성 화자와 기능적 음성장애 성인 여성 화자의 문단 낭독 시 공기역학적 특성 비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