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이명주요기능설문지의 검사 - 재검사 신뢰도 검증 및 간소화 버전 제안
이용수 71
- 영문명
- Development of a Simplified Version and Test-Retest Reliability for Korean Tinnitus Primary Function Questionnaire
- 발행기관
-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 저자명
- 허소희(Sohee Heo) 진인기(In-Ki Jin)
- 간행물 정보
-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제15권 제4호, 273~28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0.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tinnitus primary function questionnaire (K-TPFQ) and to propose a simplified version of the K-TPFQ. Methods: In the test-retest reliability measure of the K-TPFQ, 31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K-TPFQ on two occasions.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s of the two questionnaires was confirmed b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n, a total of 110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proposed, simplified version. Following factor analysis of the K-TPFQ, three items with high factor loadings for each subscale were selected as simplified version items. Internal consistency and validity were analyzed for the 12 items of the simplified version of the K-TPFQ. Results: The results of the test-retest reliability analysis of K-TPFQ showed significantly high correlations in all items, subscales, and total scores (r = 0.598-0.927).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all items in each subscale showed high communalities. Therefore, we extracted 3 items with high content validity and high factor loadings from each subscale and adopted a total of 12 items for the simplified version. The results of the internal consistency test of the simplified version showed good validity and significantly high internal consistency of all items and subscales (α = 0.839-0.950). Conclusion: This study verified the high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TPFQ. Therefore, it can be used to effectively evaluate the secondary effects of tinnitus in domestic clinics. In addition, the simplified version will reduce the time for evaluating tinnitus sufferers.
목차
INTRODUCTION
MATERIALS AND METHODS
RESULTS
DISCUSSION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성유발반응과 행동검사를 이용한 단기 청능훈련의 학습전이 및 유지 효과에 관한 연구
- 환경 소음으로부터 지혜로운 대처를 위한 소음 지도 작성의 필요성
- 초등 3~4학년 다문화가정 아동의 원인-결과와 비교-대조 설명담화 다시 말하기에 나타난 언어학적 비유창성 특성
- 음향반사역치의 주파수 특이성을 고려한 정상역치의 규준
- 기억 지연 유무 및 서열위치 효과에 따른 주관적 기억장애 노인의 이야기 다시 말하기 수행력
- 대중매체 경험에 따른 대학생의 말더듬에 대한 인식
- 지적장애 학생의 높임법 이해 및 표현에 관한 연구
- 한국어 이명주요기능설문지의 검사 - 재검사 신뢰도 검증 및 간소화 버전 제안
- 청능훈련이 보청기 착용 아동의 어음인지에 미치는 효과
- 난청 노년층의 단어 유창성에 나타난 군집과 전환 특성
- 최신 보청기 적합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보안 실태 연구
- 정상 성인 여성 화자와 기능적 음성장애 성인 여성 화자의 문단 낭독 시 공기역학적 특성 비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