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 3~4학년 다문화가정 아동의 원인-결과와 비교-대조 설명담화 다시 말하기에 나타난 언어학적 비유창성 특성
이용수 115
- 영문명
- Linguistic Disfluency in Retelling of Cause-Effect and Compare-Contrast Expository Discourses for Third to Fourth Grad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발행기관
-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 저자명
- 윤효진(Hyojin Yoon) 전희정(HeeCheong Chon)
- 간행물 정보
-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제15권 제4호, 283~29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0.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inguistic disfluencies of retelling in cause-effect and compare-contrast expository discourses for third to fourth grad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Participants were 15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15 their grade-matched children from non-multicultural families. For two groups, there were no differences on standardized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s and nonverbal intelligence test. All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tell two expository discourses after listening to two discourses with pictures. After transcribing the speech sample, linguistic disfluencies were categorized into filled pause, silent pause, repetition, and revision. Results: First,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roduced significantly more linguistic disfluencies than those from non-multicultural families even though the total number of eojeols produced in two groups was similar. Second, children showed higher rates of disfluencies on compare-contrast, when compared to the cause-effect expository discourses. Filled pause was significantly more frequent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an that from non-multicultural families and revision and pause were significantly prevalent in compare-contrast than cause-effect. Conclusion: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roduced linguistic disfluencies more frequently on the retelling of the expository discourses and it may be relevant to the difficulty on linguistic and cognitive processing of expository discourses. Linguistic disfluency would be a useful clinical index to identify the problems on process of language production at the discourse level.
목차
INTRODUCTION
MATERIALS AND METHODS
RESULTS
DISCUSSION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성유발반응과 행동검사를 이용한 단기 청능훈련의 학습전이 및 유지 효과에 관한 연구
- 환경 소음으로부터 지혜로운 대처를 위한 소음 지도 작성의 필요성
- 초등 3~4학년 다문화가정 아동의 원인-결과와 비교-대조 설명담화 다시 말하기에 나타난 언어학적 비유창성 특성
- 음향반사역치의 주파수 특이성을 고려한 정상역치의 규준
- 기억 지연 유무 및 서열위치 효과에 따른 주관적 기억장애 노인의 이야기 다시 말하기 수행력
- 대중매체 경험에 따른 대학생의 말더듬에 대한 인식
- 지적장애 학생의 높임법 이해 및 표현에 관한 연구
- 한국어 이명주요기능설문지의 검사 - 재검사 신뢰도 검증 및 간소화 버전 제안
- 청능훈련이 보청기 착용 아동의 어음인지에 미치는 효과
- 난청 노년층의 단어 유창성에 나타난 군집과 전환 특성
- 최신 보청기 적합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보안 실태 연구
- 정상 성인 여성 화자와 기능적 음성장애 성인 여성 화자의 문단 낭독 시 공기역학적 특성 비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