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성유발반응과 행동검사를 이용한 단기 청능훈련의 학습전이 및 유지 효과에 관한 연구
이용수 68
- 영문명
- The Efficacy of Transfer of Learning and Retention with Short-Term Auditory Training: Evidences from Auditory Evoked Potential and Behavioral Tests
- 발행기관
-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 저자명
- 박수린(Sulin Park) 방정화(Junghwa Bahng)
- 간행물 정보
-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제15권 제4호, 265~27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0.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short-term auditory training is associated with transfer of learning and retention through behavioral and auditory evoked potential tests the efficacy of short-term auditory training the efficacy. Methods: A total of twenty adult listeners with normal-hearing participated. Among them, eleven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as the experimental group. Two pairs of synthesized consonant-vowel (CV) were used, and only one pair of CV was used for the 20-minute auditory training. For the experimental group, behavioral tests and the mismatch negativity (MMN) were assessed using two pairs of CV sounds before and right after the auditory training. For the control group, behavioral and MMN were assessed twice with a 20-minute interval, without any auditory training. Also, all the tests were reassessed in one week after the training only for the experimental group. Resul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cores of the behavioral test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short auditory training for both stimuli sets (trained and untrained CV pairs). Onset latency and duration of MMN were significantly changed when elicited by both stimuli sets. Also, behavioral and MMN result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in one week after the auditory training.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behavioral scores and onset latency and duration of MMN for the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The present findings support that short-term auditory training produced significant training effects in terms of transfer of learning and retention.
목차
INTRODUCTION
MATERIALS AND METHODS
RESULTS
DISCUSSION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성유발반응과 행동검사를 이용한 단기 청능훈련의 학습전이 및 유지 효과에 관한 연구
- 환경 소음으로부터 지혜로운 대처를 위한 소음 지도 작성의 필요성
- 초등 3~4학년 다문화가정 아동의 원인-결과와 비교-대조 설명담화 다시 말하기에 나타난 언어학적 비유창성 특성
- 음향반사역치의 주파수 특이성을 고려한 정상역치의 규준
- 기억 지연 유무 및 서열위치 효과에 따른 주관적 기억장애 노인의 이야기 다시 말하기 수행력
- 대중매체 경험에 따른 대학생의 말더듬에 대한 인식
- 지적장애 학생의 높임법 이해 및 표현에 관한 연구
- 한국어 이명주요기능설문지의 검사 - 재검사 신뢰도 검증 및 간소화 버전 제안
- 청능훈련이 보청기 착용 아동의 어음인지에 미치는 효과
- 난청 노년층의 단어 유창성에 나타난 군집과 전환 특성
- 최신 보청기 적합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보안 실태 연구
- 정상 성인 여성 화자와 기능적 음성장애 성인 여성 화자의 문단 낭독 시 공기역학적 특성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경계선급 지적 기능 고등학생의 진로 및 진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