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교수자의 전자출결시스템에 대한 지속적 사용의도 관련 구조관계분석

이용수  68

영문명
A Study on the intent to use of Electronic attendance-absence recording systems
발행기관
한국기술교육학회
저자명
박혜진(Hye-Jin Park)
간행물 정보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18권 제2호, 148~168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교수-학습 환경에서 교육적 효율성 제고를 위한 강의지원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중요한 과제로 인식된다. 특히 전자출결시스템(electronic attendance-absence recording system)은 오프라인 교실 수업에서 출석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점검하고 관리할 수 있는 최적의 시스템으로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대학에서 강의지원을 위해 전자출결시스템이라는 새로운 혁신기술이 교수자의 수업운영이나 관리능력 등을 향상하기 위해 전자출결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충청소재 A대학의 교수자 150명을 대상으로 교수자가 인식하는 전자출결시스템에 대한 유용성과 용이성이 시스템을 대하는 수용태도와 만족도가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관계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족도→지속적 사용의도(.736)와 만족도→태도(.251), 지각된 유용성→태도(.778), 지각된 유용성→만족도(.749), 지각된 용이성→태도(.224)에서 모두 직접효과 있었으며, 해당 경로에 대한 가설이 지지되었다. 둘째,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은 전자출결시스템에 대한 지속적 사용의도에는 직접효과가 나타나지는 않지만 만족도를 매개로 하였을 경우에는 지각된 유용성(.684)과 용이성(.159)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자출결시스템에 대한 태도에서 지각된 유용성(.188)은 태도에 직접효과를 나타내기도 하지만 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Research on lecture support system for improving educational efficiency is an important task. In particular, the electronic attendance-absence recording system is an optimal system for accurately checking and managing attendance. Research is needed on whether to use the electronic attendance-absence recording system continuously to improve the teaching operation of the instructor.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the 150 professors to whether they affect the intention to use the electronic attendance system continuousl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atisfaction→intention to use(.736), satisfaction→attitude(.251), perceived usefulness→attitude(.778), perceived usefulness→satisfaction (.749), perceived ease→attitude(.224) All had direct effects on. Second,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do not directly affect the intention to use the electronic attendance system, but when the satisfaction is mediated, the perceived usefulness(.684) and ease(.159) Respectively. Third, the perceived usefulness(.188) in the attitude toward the electronic attendance system indirectly influenced the attitude, though it directly affected the attitud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혜진(Hye-Jin Park). (2018).대학 교수자의 전자출결시스템에 대한 지속적 사용의도 관련 구조관계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8 (2), 148-168

MLA

박혜진(Hye-Jin Park). "대학 교수자의 전자출결시스템에 대한 지속적 사용의도 관련 구조관계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8.2(2018): 148-1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