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제도가 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92
- 영문명
- A Study on How the Apprenticeship System Affects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 발행기관
- 한국기술교육학회
- 저자명
- 김근희(Geun-hui Kim) 이병욱(Byung-Wook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18권 제2호, 82~99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제도가 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구체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해 봄으로써 이 제도의 효과성 검증과 더불어 관련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2015년부터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제도를 실시한 9개 학교의 동일 학과 2학년 도제반 학생들과 일반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조사대상 1,051명 중 897명의 설문 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제도에 참여하는 도제반 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참여하지 않는 일반반 학생들보다 향상된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제도가 학생들이 스스로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기 위한 자신감을 키워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조사 대상자의 배경 변인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조사 대상자가 인지한 경제수준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사전조사 결과에서는 경제 수준을 높게 인식한 학생들이 높았지만 사후 조사 결과에서는 경제 수준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조사 대상자가 인식하는 학업 성적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사전 조사 결과에서는 학업 성적이 상위권이거나 중위권인 학생들이 높았지만 사후 조사 결과에서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참여하는 기업에 대한 만족도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사전 조사 결과와 사후 조사 결과 공히 참여하는 기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학생들이 높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나타냈다. 참여분야와 동일한 진로선택 희망 여부에서도 동일한 진로를 선택하길 희망하는 학생들의 사전, 사후 조사 결과가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높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나타냈다.
셋째,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제도의 운영방식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주간정시제 운영방식이 다른 운영 방식보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designed to understand how the ‘Apprenticeship System’ affects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ind out whether the system is effective and suggest what can be improved. The study selected two classes, one apprenticeship class and one general class, and compared the students’ self-efficacy level of each class. Also, within the apprenticeship class, it found how different variables and options of apprenticeship system affected the student self-efficacy level.
First, the self-efficacy level of students in the apprenticeship class had been largely improved, compared to that of students in the general class. This shows the system would help students make a career decision. Among five sub-sections to measure the student self-efficacy, the biggest gap of self-efficacy between two classes appeared in the problem-solving section.
Second, In the ‘setting goals’ sub-section of the post-survey, male students have higher level of self-efficacy than female stud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ost-surve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at marked by their economic conditions. Academic performances did not have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self-efficacy, except for the ‘future plan’ section, meaning students understand what kind of career they want regardless of their academic performances. Regarding how much students felt satisfied with the companies they worked, the students with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showed higher level of self-efficacy. When the students were asked whether to choose the same field for career that they had experienced in apprentice system, the self-efficacy level of students willing to keep pursuing a career in the same field had risen most, compared to students unwilling to do so.
Third, In terms of how much level of self-efficacy had increased, a group of students having chosen ‘weekly part time’ showed the sharpest increase in level of self-efficacy among three group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교수자의 전자출결시스템에 대한 지속적 사용의도 관련 구조관계분석
- 창의적 융합인재양성을 위한 학교관리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중등 로봇 영재를 위한 스마트시티 주제중 TEAMS 통합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제도가 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정보교과에서 언플러그드 교수·학습 방법이 학업 성취도 및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표준·표준화 교육에 대한 기술교사의 인식과 요구
- 발명교사인증제를 위한 『발명과 지식재산의 실제』 표준교재 개발 연구
- 예비기술교사를 위한 생명기술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우울과 경제적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교사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