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우울과 경제적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교사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이용수 79
- 영문명
- The Social Support of Teachers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Economic Stres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기술교육학회
- 저자명
- 강민구(Min-Gu Kang) 이상인(Sang-In Lee) 이후승(Hu-Seung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18권 제2호, 120~147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우울과 경제적 스트레스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들의 관계에서 교사의 사회적 지지에 의한 조절효과를 규명하여 학생의 우울을 감소시킬 효과적인 대안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크게 세 가지로 첫째,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우울과 경제적 스트레스, 교사의 사회적 지지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우울에 경제적 스트레스가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우울과 경제적 스트레스의 영향 관계에서 교사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어떠한가로 설정하고 이를 규명하였다. 연구문제의 객관적 검증을 위해 구성한 설문의 모집단은 전국 5개 권역 12개교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1,080명으로, 모집단이 전국에 고르게 분포하도록 구성하여 설문결과에의 지역 특성이 배제되도록 설정하였다.
위와 같은 목적과 연구문제를 바탕으로 얻어진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우울과 경제적 스트레스, 교사의 사회적 지지의 관계에서 우울과 경제적 스트레스의 관계는 유의수준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경제적 스트레스와 교사의 사회적 지지의 관계는 유의수준을 벗어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우울에 경제적 스트레스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력은 우울의 하위요인별로 우울감정(20.6%), 신체 및 행동둔화(17.4%), 대인관계(14.1%)로 나타났다. 셋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우울과 경제적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교사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교사의 사회적 지지 하위요인 중 정서적 지지가 조절변인임을 규명하였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우울에는 경제적 스트레스가 영향을 미치며, 학생의 경제적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물질이나 정보 등의 지지보다 현재의 스트레스 상황을 들어주고, 같이 공감해주는 교사의 정서적 지지가 적극적으로 투입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economic stress to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 and to verify regulation effect of teachers social support to the relationship. The result will be applied to reduce a depression of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 as a basic data.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re was three research problems. Firstly,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economic stress and teacher s social support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economic stress on depression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ird, the adjustment effect of teacher s social support in relation to the depression of economic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economic stress was clarified. The population of the questionnaire constructed for the objective validation of the research problem was 1,080 students in 12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in five regions across the country, and the population was uniform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country, so tha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results were excluded.
Based on the above objectives and research problem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economic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economic stress and teacher s social support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showed a statistically correlated relationship at the significance level.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stress and teacher s social support, Respectively. Second, depressive symptoms (20.6%), physical and behavioral slowing (17.4%),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14.1%)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effects of economic stress on the depression of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teacher s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economic stress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as found to be the control variable of emotional support among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of teacher.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economic stress affects the depression of specialized va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in order to reduce the depression caused by economic stress of students, The teacher s emotional support should be actively appli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교수자의 전자출결시스템에 대한 지속적 사용의도 관련 구조관계분석
- 창의적 융합인재양성을 위한 학교관리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중등 로봇 영재를 위한 스마트시티 주제중 TEAMS 통합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제도가 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정보교과에서 언플러그드 교수·학습 방법이 학업 성취도 및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표준·표준화 교육에 대한 기술교사의 인식과 요구
- 발명교사인증제를 위한 『발명과 지식재산의 실제』 표준교재 개발 연구
- 예비기술교사를 위한 생명기술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우울과 경제적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교사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