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표준·표준화 교육에 대한 기술교사의 인식과 요구
이용수 72
- 영문명
- The Recognition and Needs by Technology Teachers about Standard and Standardization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기술교육학회
- 저자명
- 이명한(Lee, Myeonghan)
- 간행물 정보
-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18권 제2호, 20~39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내용요소 중 하나인 ‘기술의 이용과 표준’에 대한 기술교사들의 인식과 요구에 대해 조사․분석함으로써 앞으로 다양하게 진행될 표준․표준화 교육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전국의 중학교에서 기술 교과를 가르치고 있는 기술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교사들의 표준․표준화 수업 경험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며, 관련연수 및 교육 연구회 등의 활동 경험이 매우 부족하다.
둘째, ‘기술의 이용과 표준’의 성취 기준에 대한 이해 정도는 보통이나 ‘기술의 이용과 표준’ 내용 요소를 기술 교과에 타당한 요소로 판단하고 있다.
셋째, ‘기술의 이용과 표준’ 내용 요소의 성취 기준이 중학교 수준에 적합하다고 하였고, 고등학교 1학년까지 확대하면 고등학교 1학년이 중학교보다 적합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넷째, ‘기술의 이용과 표준’ 내용에 대한 성취 기준의 확대나 독립 단원으로 구성되는 것에 대해 동의하지 않고 있다.
다섯째, ‘기술의 이용과 표준’의 성취기준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으로 표준화의 구체적인 방법과 산업 표준, 인증 표준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a preliminary data for standard and standardization education research by finding out the recognition and needs by the technology teachers about the contents element of ‘using technology and standard’ area in 2015 revised curriculum.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technology teachers teaching technology subject at middle school across the country, and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lack of awareness about the standard and standardization teaching experiences of technology teachers and a lack of experience in activities such as relevant training and education research meetings.
Second, understanding of the ‘using technology and standard’ achievement standard is common, but the ‘using technology and standard’ contents element is considered to be relevant element of the technology curriculum.
Third, technology teachers said that the achievement criteria for the ‘using technology and standard’ contests element is considered suitable for the middle school level, and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is judged to be more suitable than the middle school.
Fourth, technology teachers did not agreed on expanding the achievement standard for the content of the ‘using technology and standard’ or forming an independent unit.
Fifth, the method of standardization, industrial standards, and certification standards were high as the contents to be includ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 for the ‘using technology and standar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교수자의 전자출결시스템에 대한 지속적 사용의도 관련 구조관계분석
- 창의적 융합인재양성을 위한 학교관리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중등 로봇 영재를 위한 스마트시티 주제중 TEAMS 통합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제도가 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정보교과에서 언플러그드 교수·학습 방법이 학업 성취도 및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표준·표준화 교육에 대한 기술교사의 인식과 요구
- 발명교사인증제를 위한 『발명과 지식재산의 실제』 표준교재 개발 연구
- 예비기술교사를 위한 생명기술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우울과 경제적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교사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