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중·고에서의 발명-지식재산교육 핵심 학습 요소 편성 실태 분석

이용수  78

영문명
Analysis of the organization of key learning elements of invention/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발행기관
한국기술교육학회
저자명
이규녀(Kyu-Nyo Lee) 이병욱(Byung-Wook Lee)
간행물 정보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14권 제2호, 194~215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8.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중·고 학교급별 발명?지식재산교육 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선행 연구에서 추출된 발명?지식재산교육의 핵심적인 학습 요소에 대하여 교육영역, 성취 유형 등의 편성 실태를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내용 분석과 타당성 조사를 활용하였으며,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중·고 발명?지식재산교육의 핵심 학습 요소별 교육 영역과 성취 유형,적합한 학교급의 내용 분석 결과에 대한 타당성은 평균 4.86과 표준편차 0.173으로 나타나 대체로 타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초·중·고 발명?지식재산교육의 핵심 학습 요소는 D(문제 해결과 활동)가 30.58%, E(발명 융합 지식)가 21.51%, B(창의성 이해와 활동)가 10.48%순으로 높은 편성 비중을 보였다. 반면, H(발명과 진로)와 M(특허정보분석)은 0.86%, I(발명과 경영)는 1.91%로 낮은 편성율을 보였다. 이들 영역에 대한 학교급간 핵심 학습 요소의 편성율은 최소 0.30%에서 최대 3.95%에 불과하여 거의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셋째, 초·중·고 발명?지식재산교육의 핵심 학습 요소는 이 분야의 주된 교육 영역인 발명 소양 영역이 55.77%, 창출 영역이 33.25%, 보호 영역이 8.56%, 활용 영역이 2.42%순으로 나타났으며, 성취 유형은 지식이 70.58%, 기능이 24.43%, 태도가 4.99%순으로 나타났다. 발명 소양과 기능, 태도 영역은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소폭 감소하였으며, 보호와 활용, 그리고 지식 영역은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다소 증가하였다. 하지만 학교급간의 감소 또는 증가의 차이는 0.59%~4.02%에 불과하여 거의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초?중?고 발명?지식재산교육의 핵심 학습 요소는 거의 유사한 편성 비중과 유형으로 나타나 학교급간에 중점적인 교육 목적이나 내용 체계에 있어서 차별화된 특성을 갖추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그리고 지식 유형이 지나치게 높아 기능 및 태도 영역의 비중을 높여서 균형을 고려할 필요가 있고, 학교급을 고려한 발명?지식재산교육 체계 구축 연구가 후속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is a basic research to establish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system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We analyzed organization of key learning elements of invention/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such as education area and type of accomplishment. We utilize the content-analysis and feasibility study of research method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eta-analysis of education area, type of accomplishment, and appropriate school level of key learning elements of invention/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confirmed validity(average 4.86, standard deviation 0.173). Second, the key learning elements of invention/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are composed of D(problem solving and activity, 30.58%), E(invention/fusion knowledge, 21.51%), and B(creativity understanding and activity, 10.48%). In contrast, H(invention and future career) and M(patent information analysis) accounted for 0.86% and I(invention and management) accounted for 1.91%. Percentages of such organizations are very similar among all school levels (organization rate from 0.30% to 3.95%). Third, in education area of key learning elements of invention/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there are invention knowledge area (55.77%), creation area (33.25%), protection area (8.56%), and utilization area (2.42%). And in type of accomplishment, there are knowledge (70.58%), function (24.43%), and attitude (4.99%). The area for invention knowledge, function, and attitude decreased slightly, however, the area for protection, utilization, and knowledge increased a little when the school level became higher. Bu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chools are not significant by only 0.59%~4.02%. Thus, the organization of key learning elements of invention/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was similar to each other and there was no distinction in education purpose and contents. Knowledge area is too high, 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balance weight is by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the area function and attitude and finally a research on establishment of invention/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system according to different school levels remains to be done.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 절차 및 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규녀(Kyu-Nyo Lee),이병욱(Byung-Wook Lee). (2014).초·중·고에서의 발명-지식재산교육 핵심 학습 요소 편성 실태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4 (2), 194-215

MLA

이규녀(Kyu-Nyo Lee),이병욱(Byung-Wook Lee). "초·중·고에서의 발명-지식재산교육 핵심 학습 요소 편성 실태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4.2(2014): 194-2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