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NCS 학습모듈을 활용한 특성화 고등학교 컴퓨터 네트워크과 교육과정 개발
이용수 109
- 영문명
- A Curriculum Development for Computer Network Subjects using NCS Learning Modules at Specialized High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기술교육학회
- 저자명
- 박상선(Sang-Sun Park) 조성문(Seong-Mum Cho) 송해덕(Hae-Deok Song)
- 간행물 정보
-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14권 제2호, 64~88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8.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DACUM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운영관리자의 직무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도출된 핵심과업과 NCS 학습모듈을 기반으로 특성화 고등학교 컴퓨터 네트워크과의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DACUM 위원회를 조직하고 워크숍을 실시하여 네트워크 운영관리자에 대한 5개의 책무와 38개의 과업을 도출하였다. 둘째, 네트워크 분야의 근로자 80명을 대상으로 과업 중요도와 교육 필요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13개의 핵심과업을 선정하였다. 셋째, 현업 내용 전문가의 도움으로 선정된 핵심과업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지식/기술/도구 분류표를 작성하고, 이를 그룹화한 후 과업/지식·기술·도구 행렬표를 작성하여 7종의 교과목(네트워크 기초, 네트워크 구축, 운영 체제, 인터넷 일반, 정보통신 일반, 컴퓨터 보안, 서버 구축 실무)을 선정하였다. 넷째, 7종의 교과목과 관련이 있는 NCS 능력단위를 선정하고, 능력단위요소×교과목 행렬표를 작성한 후 교육과정을 구성하였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특성화 고등학교 컴퓨터 네트워크과의 교육과정구성은 다음과 같다. 1학년은 인터넷 일반, 네트워크 기초 교과목이 배정되었고, 이와 연관성이 있는 NCS 학습모듈은 네트워크 장비 설치, 환경설정, 네트워크 구성으로 나타났다. 2학년은 정보통신 일반, 네트워크구축, 운영체제 교과목이 배정되었고, 이와 연관성이 있는 NCS 학습모듈은 서버 구축 및 운용, 네트워크 구성, 네트워크 장비 설치, 환경 설정, 단위시험, 통합시험, 운용시험, 품질관리, 장애관리로 나타났다. 3학년은 컴퓨터 보안과 서버 구축 실무 교과목이 배정되었고, 이와 연관성이 있는 NCS 학습모듈은 환경설정, 서버 구축 및 운용, 네트워크 구성, 보안장비 구축 및 운영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mputer network administrator s tasks with the use of DACUM method, and to develop a curriculum for the computer network subjects using National Competency Standard(NCS) learning module at specialized high schools.
For this purpose, first, computer network administrator s duties and tasks were identified from DACUM conference workshop. A total of 5 duties and 39 tasks were determined. Second, key tasks were selected from a survey that examined the importance and educational needs for each task with 80 computer network administrators. 13 key tasks were selected. Third, the knowledge, skills, and tools that are needed to perform each key task were analyzed by Subject Matter Experts. Main subjects were drawn from categorizing the identified knowledge, skills, and tools. The identified 7 subjects were Network foundation, Network construction, Operational system, Introduction to the Internet, Introduction to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Computer security, Server construction practice.
Finally, the curriculum for the computer network subjects at a specialized high school are suggested as follows. For the first grade, the subjects included the Introduction to the Internet and Network foundation with NCS learning modules that consists of Network equipment installation, Configuration of IT-based technology development, Network architecture of content user service competency-group. For the second grade, the subjects included Introduction to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Network construction, and Operational system with NCS learning modules that consists of Server construction & operation, Network equipment installation, Configuration, Unit test, Integrated test, and Operational test, Quality control, and Fault management of content network service. For the third grade, the subjects included Computer security and server construction practice with NCS learning modules that consists of Configuration of IT-based technology, Server construction & operation, Network, and Security equipment construction.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융합인재교육에서의 학습성과 측정을 위한 핵심역량 구성요인 개발
- 중등 직업교육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과서에서의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 반영 실태 분석 연구
- 학술지 논문에 기초한 발명교육 연구 동향 분석
- NCS 학습모듈을 활용한 특성화 고등학교 컴퓨터 네트워크과 교육과정 개발
-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들이 인식하는 진로교육 실태
- 스마트교육기반 STEAM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 중학교 기술교과에서 공학설계 중심 STEAM 수업자료 개발
- 중학교 기술·가정과 ‘기술과 발명’ 단원을 위한 수업과정안 및 수행평가 도구 개발
- Keller의 ARCS 모형에 따른 기술·가정 2 교과서의 ‘자동화와 로봇’ 단원 내용분석
- 직업기초능력의 함양과 능력중심 교육과정의 교과서 방향을 위한 공업 일반 교과서 탐색
- 초·중·고에서의 발명-지식재산교육 핵심 학습 요소 편성 실태 분석
- 미래 발명교육 아젠다의 도출과 실천 단계의 전략화 연구
- 중학교 발명영재의 창의적 성향 검사도구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생의 탐구학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탐구 의미 재구성과 수업 설계에 대한 함의
- 말더듬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연구
- 가출 청소년에게 ‘집’이란 어떤 곳인가?: 중학생 때 가출한 후기 청소년의 ‘집’의 장소성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