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직업기초능력의 함양과 능력중심 교육과정의 교과서 방향을 위한 공업 일반 교과서 탐색
이용수 21
- 영문명
- Analyses of General Industry Textbooks for Key Competencies Development and Textbooks of Competencies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기술교육학회
- 저자명
- 함승연(Seung-Yeon Hahm)
- 간행물 정보
-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14권 제2호, 41~6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8.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직업기초능력 함양과 능력중심 교육과정이 새롭게 개발되고 있는 시점에서 인정 교과서로 전환되어 처음 적용되는 공업계열 공통 필수 과목인 공업 일반 교과서를 탐색하여 새로운 교과서 개발에 타당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업 일반 인정 교과서 8종을 분석하되,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변화된 내용이나 중요도가 높은 부분의 대단원과 중단원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교과서 체제’ 개념을 이용하되 내적 체제는 ‘학습 내용의 선정’, 학습 내용의 조직‘, ’교수·학습 방법‘ 구성 영역을, 외적 체제는 ’편집 디자인‘ 구성 영역을 선정하여 내용과 형식을 질적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별로 동일한 단원에 제시된 학습 내용의 수가 달라 어느 교과서로 학습하느냐에 따라 학습 내용에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학습 내용 자체의 실생활 관련성은 부족한 편이며 주로 ‘문제해결’과 같은 코너를 통해 이루어졌다. 둘째, 내용 설명의 양 보다는 내용 설명의 정확성, 내용 조직 방식에 따라 학습 내용을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과서 별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하고 있으나 ‘프로젝트 학습, 문제해결활동’ 등에서 제시된 문제 상황이 학생 수준에서 해결하기 어렵거나 그 범위가 매우 포괄적이어서 접근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또한 읽을 거리나 삽화를 다양하게 제시하였으나 학습 내용과 연관성이 낮은 경우가 있었고, 자기 평가 도구를 구성하면서 성취 수준을 명확하게 제시하지 않아 실제로 자기 평가를 수행하기가 어렵게 구성한 경우가 있어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할 때 완성도를 높일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과서 표지가 세련되어 학생의 흥미를 유발한 교과서가 있는 반면에 기존 교과서 표지와 유사하고 세련되지 못한 교과서 표지가 있어 학생이 공부하고 싶고 흥미를 유발하도록 디자인을 구성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f general industry textbooks for key competencies development and textbooks of competencies curriculum. These general industry textbooks were 8 kind of adopted textbooks in industry Curriculum according to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2009.
‘Product production’ and ‘Business management activity’ unit in the 8 textbooks were analyzed by internal and external structure in textbook structure. For the content analysis, ‘selection of learning contents’, ‘organization of learning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 and ‘the editorial design’ were selected by the factors study influencing the selection of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in terms of internal and external structur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number of learning contents in the same adopted textbook were different and correlation knowledge in real life were shortage. According to lack of contents accuracy and organization of learning contents were possibility of error. The scope of the problem situation in teaching-learning activities were a wide. The cover design of textbook were attractingly made for students.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융합인재교육에서의 학습성과 측정을 위한 핵심역량 구성요인 개발
- 중등 직업교육 공업계열 전문교과 교과서에서의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 반영 실태 분석 연구
- 학술지 논문에 기초한 발명교육 연구 동향 분석
- NCS 학습모듈을 활용한 특성화 고등학교 컴퓨터 네트워크과 교육과정 개발
-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들이 인식하는 진로교육 실태
- 스마트교육기반 STEAM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 중학교 기술교과에서 공학설계 중심 STEAM 수업자료 개발
- 중학교 기술·가정과 ‘기술과 발명’ 단원을 위한 수업과정안 및 수행평가 도구 개발
- Keller의 ARCS 모형에 따른 기술·가정 2 교과서의 ‘자동화와 로봇’ 단원 내용분석
- 직업기초능력의 함양과 능력중심 교육과정의 교과서 방향을 위한 공업 일반 교과서 탐색
- 초·중·고에서의 발명-지식재산교육 핵심 학습 요소 편성 실태 분석
- 미래 발명교육 아젠다의 도출과 실천 단계의 전략화 연구
- 중학교 발명영재의 창의적 성향 검사도구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생의 탐구학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탐구 의미 재구성과 수업 설계에 대한 함의
- 말더듬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연구
- 가출 청소년에게 ‘집’이란 어떤 곳인가?: 중학생 때 가출한 후기 청소년의 ‘집’의 장소성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