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신지체학교의 직업훈련 직종과 취업 직종 간의 연관성
이용수 27
- 영문명
- The correlation between occupational categories of training and employment made up in school of mental retardation
- 발행기관
- 한국직업재활학회
- 저자명
- 임경원(Lim Kyoung-won) 박은영(Park Eun-young) 임인진(Lim Lin-jin) 정은영(Chung Eun-young) 김삼섭(Kim Sam-sup)
- 간행물 정보
- 『직업재활연구』제15권 제2호, 193~21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정신지체학교의 직업훈련 직종과 취업 직종간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44개 정신지체 학교의 직업교육과정을 분석한 후, 훈련 직종과 취업 직종 간의 일치율을 알아보았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지체학교에서 편성ㆍ운영하고 있는 직업훈련 직종의 수는 모두 46개로 나타났으며, 조립(77.3%), 목공예(72.7%), 도자기공예(70.5%), 원예작물(59.1%), 조리(59.1%), 홈패션(52.3%), 청소(50.0%), 컴퓨터(47.7%), 가사(38.6%), 포장(36.4%)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신지체학교에서의 훈련직종과 취업직종 간의 일치율은 44.9%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 정신지체 학교의 직업훈련 직종의 수도 적고 그 범주도 좁을 뿐 아니라, 훈련직종과 취업직종 간의 일치율도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직업세계의 변천에 따라 그리고 지역사회 산업체 분포를 고려하여 훈련직종을 편성, 운영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occupational categories of training and employment made up in school of mental retardation. For this purpose, vocational education course of 44 schools of mental retardation was analysed, and then the percentage of concordance between occupational categories of training and employment was determine. The results were following: First. occupational categories of training made up in school of mental retardation were 46, and order of this categories was assembly (77.3%), wood art (72.7%), ceramic art (70.5%), cultivation of flowering and crops (59.1%), cooking (59.1%), home-fashion (52.3%), cleaning (50.0%). computer (47.7%), housework (38.6%), packing (36.4%); Second, the percentage of concordance was 44.9% between occupational categories of training and employment made up in school of mental retardation.
There were a few and narrow occupational categories of training made up in school of mental retardation. In addition to the percentage of concordance was low between occupational categories of training and employment. It suggest that occupational categories of training made up in school of mental retardation should be diversified according to need of the present age and industry of community ba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지체학교의 직업훈련 직종과 취업 직종 간의 연관성
- 직업능력평가사 역할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연구
- 제 7차 교육과정에 기초한 손 기능 향상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인의 작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정책의 경로의존에 관한 연구 -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
- 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복지수준 비교․연구
- 청각장애인 진로성숙 경로모형 연구
- 전환교육관점에서 본 특수교육의 직업교육 실태 및 방향
- 맥크론 다이얼(McCarron-Dial) 평가시스템을 이용한 정신지체인과 전반적 발달장애인의 직업수준 비교
- OASYS 체계와 구성 및 활용 가능성
- 직업재활의 관점에서 본 장애인 독립생활 운동의 의미와 협력체계 연구
- 요리활동프로그램이 지원고용대상자의 자아존중감 발달에 미치는 효과
- 직업재활 전공학생의 실습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실습지도 요인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