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맥크론 다이얼(McCarron-Dial) 평가시스템을 이용한 정신지체인과 전반적 발달장애인의 직업수준 비교
이용수 142
- 영문명
- Discriminating vocational levels of Adults With Mental Retardation Versus Adults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on McCarron-Dial Evaluation System
- 발행기관
- 한국직업재활학회
- 저자명
- 황상희(Sang-Hui Hwang) 유은영(Eun-Young Yoo) 정민예(Min-Ye Jung) 이충휘(Chung-Hwi Lee)
- 간행물 정보
- 『직업재활연구』제15권 제2호, 71~8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맥크론 다이얼 평가시스템을 이용하여 정신지체인과 전반적 발달장애인의 직업수준 표준점수와 신경심리학적 요인별 점수의 차이를 알아보고, 직업수준 표준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지체인과 전반적 발달장애인으로 진단 받은 남녀 총 127명(정신지체인 87명, 전반적 발달장애인 40명)에게 맥크론 다이얼 평가시스템을 평가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 발달장애인이 정신지체인보다 직업수준 표준점수가 높았고, 각 신경심리학적 요인별 점수도 높았다. 둘째, 정신지체인과 전반적 발달장애인에서 지능지수는 각 신경심리학적 요인별 점수, 직업수준 표준접수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직업수준 표준접수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정신지체체인은 언어공간인지요인, 감각요인, 운동요인 순이고, 전반적 발달장애인은 언어공간인지요인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 정신지체인과 전반적 발달장애인의 맥크론 다이얼 평가시스템 접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고, 직업수준 표준접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다르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정신지체인과 전반적 발달장애인의 직업수준에 영향을 마치는 변수를 고려하여 적절한 직업 및 직무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vocational level standard scores and neuropsychological factor scores of the McCarron-Dial Evaluation System(MDS) in adults with mental retardation(MR) and adults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PDD), and to ascertain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s to vocational level standard scores.
Eighty seven adults with MR and forty adults with PDD were evaluated with MD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vocational level standard scores and neuropsychological factor scores are higher in adults with PDD than MR. Second. In adults with l\1R and PDD. intelligence quotient(IQ)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neuropsychological factor scores and vocational level standard scores in MDS. Third. In vocational level standard scores of MDS in adults with MR, VSC factor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and the second most significant one was sensory factor. The least significant variable was motor factor. VSC factor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of vocational level standard scores in MDS in adults with PDD. The above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vocational level standard scores of MDS in adults with l\1R and PDD, and different variables that have influences on vocational level standard scores. Therefore. we have to consider those significant variables of vocational level standard scores in MDS for the intervention of adults with MR and PDD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지체학교의 직업훈련 직종과 취업 직종 간의 연관성
- 직업능력평가사 역할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연구
- 제 7차 교육과정에 기초한 손 기능 향상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인의 작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정책의 경로의존에 관한 연구 -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
- 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복지수준 비교․연구
- 청각장애인 진로성숙 경로모형 연구
- 전환교육관점에서 본 특수교육의 직업교육 실태 및 방향
- 맥크론 다이얼(McCarron-Dial) 평가시스템을 이용한 정신지체인과 전반적 발달장애인의 직업수준 비교
- OASYS 체계와 구성 및 활용 가능성
- 직업재활의 관점에서 본 장애인 독립생활 운동의 의미와 협력체계 연구
- 요리활동프로그램이 지원고용대상자의 자아존중감 발달에 미치는 효과
- 직업재활 전공학생의 실습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실습지도 요인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